누구를 위한 문화지구 지정인가
[아츠앤컬쳐] 서울시와 종로구청은 2004년에 대학로를 문화지구로 지정했다. 이후 연극 공연의 메카로 자리잡게 된 대학로에서 지금은 소극장들이 하나씩 문을 닫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유는 건물주가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극장을 비워달라고 통보하기 때문이다.
2004년 5월, 서울시와 종로구청은 대학로 고유의 문화예술 자원인 연극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혜화로터리부터 이화동 로터리 사이 1.5km 구간인 대학로를 문화지구로 지정했다. 건물에 공연장이나 전시장, 박물관 등의 시설을 유치하면 건물 고도 제한을 5층에서 6층으로 완화해주고(용적률 100% 상향 조정), 부동산세 등의 조세 부담금을 감면해주는 인센티브도 생겼다.
문화지구 지정 이후 대기업 자본이 들어와 공연장을 짓고, 대학들도 공연센터를 짓기 시작하면서 2004년 57개 불과했던 소극장은 문화지구 지정 후 한 때 200여 개로 급증했다. 임대료도 10년이 지난 지금 거의 두배 이상 올랐다. 소극장의 유료관객 점유율도 이제는 많이 떨어졌다.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10개의 소극장이 문을 닫거나 폐관할 예정이고, 30여 개 소극장들도 서서히 문 닫을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대학로에는 130여 개 민간 소극장이 남아있다.
서울시와 종로구청은 문화지구를 지정할 때 민간 소극장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혜택을 볼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를 마련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건물주에게만 혜택이 돌아가고 순수 연극인들의 설 자리는 없어지고 있다는 현실이 안타깝다.
연극인들은 경제 논리에 밀려 순수 연극인들의 설 자리가 없어지고 있다며, 의미없는 문화지구 지정을 차라리 해제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금 연극의 거리 대학로는 상업시설만 우후죽순처럼 늘어가고 있다. 가난하지만 연극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갖고 살아가는 연극인들을 위한 새로운 문화지구 조성을 포함한 실질적인 혜택이 주어지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글 | 전동수 발행인
올레tv 클래식 프로그램 ‘프롬나드’를 진행하고 있으며 음악평론가, 대한적십자사 미래전략특별위원으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