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아코르타
Franciacorta
[아츠앤컬쳐] 이탈리아 브레시아 인근 이세오 호수 주변에는 예로부터 포도나무를 재배해 온 구릉지가 있다. 대 플리니우스, 콜루멜라 및 베르길리우스와 같은 유명한 로마 작가와 시인들이 포도 재배에 매우 중요하게 여긴 곳이다. 9~11세기(서기 800~1000년) 사이에,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의 믿을 만한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오랫동안 수도원 소유의 구릉 지역에서 포도나무를 재배해 왔다.
1200년대에 당시 브레시아 지자체는 라틴어 "francae curtes"를 따서 지역 이름을 프란치아코르타로 명명했다. 그곳에서 수세기 동안 살아온 수사들은 포도주와 기타 상품 거래에 있어 지주와 주교에게 세금을 면제받으며 포도 재배와 토지 관리에 전념했다.
15세기에 프란치아코르타 지역이 베네치아공화국에 속했을 때, 1429년에 당시 베네치아의 도제 프란체스코 포스카리가 지금까지도 동일한 이 와인 생산지의 경계를 정했다.
스파클링 와인은 지난 196호에 프로세코 기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거의 북부 이탈리아 전역에서 만들어지지만, 프랑스 샴페인의 이탈리아 소울메이트 지역을 찾고 있다면 그곳은 단연 롬바르디아다.
그곳에서 전통적인 프랑스 방식으로 생산된 드라이 스파클링 와인은 이탈리아-스위스 국경에 가까운 발텔리나, 이탈리아의 가장 큰 강인 포강 바로 남쪽에 있는 올트레포 파베세의 세 지역에 있다. 올트레포라는 단어는 “포강 건너편에 있다”는 의미이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브레시아 도시 근처에 있는 약 20개의 롬바르디아 소도시에서 가장 세련된 샴페인 같은 와인의 전통 유산과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프랑스 샴페인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의 ‘고전적인 방법’인 메토도클라시코라고 불리는 프란치아코르타는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 포도로 만들 수 있으며, 피노 블랑 포도 또한 허용된다. 최고의 프란치아코르타는 매우 엄격하고 우아한 스파클링 와인이며 엄격한 규정에 따라 비앙코, 로제 및 사텐의 세 가지 버전이 있다.
이 중 프란치아코르타 비앙코를 살펴보면, 빈티지인지 아닌지, 또는 이탈리아어로 millesimato 또는 Riserva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 18~60개월의 숙성이 필요하다. 황금빛의 밀짚 노란색, 뛰어나고 지속적인 페를라쥬, 빵 껍질과 효모의 느낌, 감귤류와 말린 과일의 향, 신선하고 부드럽고 균형 잡힌 맛을 지닌 프란치아크로타 비앙코는 버터와 세이지 라비올리, 버섯 리조또와 함께하는 게 좋고, 해산물 소스 파스타, 송아지 구이, 생선 구이, 오믈렛, 짭짤한 파이, 스시, 마르게리타 피자 및 신선한 치즈와도 잘 어울린다.
Franciacorta
Around Lake Iseo, near today’s Italian city of Brescia, there is a hilly area where vines have been cultivated since ancient times. Renowned Roman writers and poets such as Pliny the Elder, Lucius Junius Columella and Vergil considered these places very important for viticulture.
Later, between the ninth and the eleventh century (800~1000 AD), along that hilly area, the Benedictine Catholic monks cultivated vines in those same lands that according to reliable historical sources had long belonged to their abbeys.
During the 1200s, the then Municipality of Brescia named for the first time Franciacorta those wine territories, referring to the Latin expression “francae curtes” that were precisely those abbeys (“curtes”) whose monks were exempted (“francae”) from paying taxes to their landowners and bishops for the trade of wine and other goods, since living there for centuries, as already mentioned, they were dedicated to viticulture and to the care of the lands.
When, in the fifteenth century, the lands of Franciacorta belonged to the Republic of Venice, the then Venetian Doge Francesco Foscari in 1429 fixed the boundaries of this wine-growing area which still correspond to the current ones.
Sparkling wines are made throughout almost northern Italy, as we noticed some time ago when we told the story of Prosecco but, if one is looking for an Italian soul mate region of the French Champagne, this is definitely Lombardy.
There, dry sparkling wines produced with the traditional French method are found in three areas: Valtellina, close to the Italian-Swiss border, Oltrepò Pavese, just south of the Po, the largest Italian river, hence the word Oltrepò mea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Po” and Franciacorta itself, the most relevant one for its sophisticated Champagne-like wines exclusive heritage, still today, of about twenty Lombard small towns near the city of Brescia.
As with French champagne therefore, Franciacorta, called metodo classico, “classic method” in Italy, can only be made by using Chardonnay and Pinot Noir grapes, although Pinot Blanc grape is also allowed. At its best Franciacorta is a very austere, elegant sparkling wine and according to its strict regulations there can be three versions of it: bianco (white), rosé and satèn.
Among these, let’s talk about Franciacorta bianco: it needs to be aged from 18 to 60 months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non-vintage one, a vintage one, millesimato in Italian or a Riserva. Straw yellow in color with golden hues, a fine and persistent perlage, hints of bread crust and yeasts, notes of citrus and dried fruit and with its fresh, soft, well-balanced taste, Franciacorta bianco matches with butter and sage ravioli, mushrooms risotto, seafood sauce pasta, veal roasts, grilled fish, omelettes, savory pies, sushi, margherita pizza and fresh cheeses.
글 | 에밀리아노 펜니지 Emiliano Pennisi
Sogang University lecturer of Italian language
Wine scholar and expert
He attended sommellier courses in Ita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