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브루스코
Lambrusco
[아츠앤컬쳐] 람브루스코의 역사는 베르길리우스, 카토, 바로와 같은 로마 시대의 권위 있는 시인과 작가들이 언급한 ‘비티스 라브루스카’에 관한 이야기에서부터 시작된다. ‘비티스 라브루스카’는 시골 외곽 지역에서 자라는 야생 포도나무를 가리킨다.
저명한 로마 역사가인 대 플리니우스는 현재 이탈리아의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이 포도 재배에 특히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최고의 와인이 에밀리아 가도를 따라 나무 옆에 심어진 포도나무에서 나온다고 믿었다. 이 에밀리아 가도는 중요한 로마 도로로, 현대 이탈리아의 같은 이름을 가진 국도에서도 여전히 부분적으로 볼 수 있으며, 대략 원래의 경로와 같다. 그는 저서 『박물지(博物誌)』에서 비티스 라브루스카의 잎은 “떨어지기 전에 짙은 색으로 변한다”고 주장하였다.
시간을 훌쩍 뛰어넘어 11세기로 가보면, 우리는 이탈리아 중세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인물 중 한 명인 토스카나의 여변경백 마틸다 디 카노사를 만나게 된다. 롬바르디아 출신의 귀족인 마틸다는 생전에 오늘날의 롬바르디아, 에밀리아-로마냐, 토스카나를 포함하는 영토를 다스렸다.
전설에 따르면, 1084년 소르바라 전투에서 마틸다 대백작(마틸다의 칭호)과 그녀의 교황 지지군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의 군대를 마을 성에 저장된 음식을 먹고 람브루스코 와인을 끝없이 마시게 하여 물리쳤다고 한다.
오늘날 람브루스코는 어두운 색을 띤 이탈리아 포도 품종과 주로 이 포도들로 생산되는 여러 인기 있는 레드 및 로제 스파클링 와인을 말한다. 이 포도 품종은 이탈리아의 모데나, 파르마, 레조 에밀리아, 만토바 등의 도시 주변 지역에서 주로 생산된다. 이 이름의 어원은 불확실하지만, 아마도 ‘들판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labrum’과 ‘야생 식물’을 의미하는 ‘ruscum’이라는 두 단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로마인들이 언급한 ‘vitis labrusca’라는 이름도 여기서 비롯한 것일 수 있다. 많은 와인이 야생 포도로 만들어졌으며, 당시 사람들은 오늘날의 람브루스코 와인의 조상 격인 와인을 어쩌면 스파클링 형태로 마셨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람브루스코 스파클링 와인은 보통 프로세코와 마찬가지로 샤르마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 와인들은 대개 미디엄 바디의 드라이와인으로, 포도 품종에 따라 어두운 루비 레드색 또는 밝은 루비 레드색을 띠며, 밀도 있고 생기 있으며 희미한 보라색 가장자리의 거품이 특징이다. 신선하고 바이올렛 힌트가 있는 고운 향에 체리, 블랙베리, 모과, 레드커런트, 감귤류와 같은 잘 익은 과일의 노트가 있다. 맛은 섬세하고 향긋하며, 약간의 과일 맛과 함께 산미가 두드러진다. 드라이의 정도는 다양하여, 람브루스코 스파클링 와인은 약간 달콤한 ‘아마빌레(amabile)’나 매우 달콤한 ‘돌체(dolce)’가 될 수 있다.
Lambrusco
The history of Lambrusco echoes in the words of authoritative poets and writers of the Roman era such as Vergil, Cato and Varro who spoke of vitis labrusca, a wild vine that grew on the edge of the countryside areas.
Pliny the Elder, the renowned Roman historian, claimed in turn that the lands of the current Italian region of Emilia-Romagna were particularly suitable for viticulture. Pliny also believed that the best wines came from the vines planted next to the trees along the Via Emilia, an important Roman road still partially visible beneath the modern Italian State Road of the same name which roughly follow its original old route. In his essay Naturalis Historia, he further argued that the leaves of vitis labrusca “turned a deep color before falling”.
With a leap in time, we move now to the 11th century to meet Matilda of Canossa, Margrave of Tuscany, one of the most relevant political figures of the Italian Middle Ages. A noblewoman of Lombard origins, Matilda in her life ruled a territory that included today’s Lombardy, Emilia-Romagna and Tuscany. Legend has it that in 1084, during the battle of Sorbara, the Grand Countess (as Matilda was called) and her pro-papist army defeated the soldiers of the Holy Roman Emperor Henry IV by letting them eat the food stored in the town’s castle and drink the abundant supplies of Lambrusco wine until they fell asleep.
Nowadays, Lambrusco is the name of both a group of dark-colored Italian grape varieties and several appreciated red and rosé sparkling wines produced mainly from these very same grapes native to the areas surrounding the Italian cities of Modena, Parma, Reggio Emilia and Mantua. The etymology of this name is still uncertain although it probably derives from the two Latin words labrum (edge of the fields) and ruscum (wild plant), from which therefore the name vitis labrusca that the Romans spoke of could come. Many wines at that time were made from wild grapes and the hypothesis that they drank an ancestor of Lambrusco wine, perhaps even in a sparkling version like the today’s one, cannot be ruled out.
Lambrusco sparkling wines are usually made using the Charmat method, as is the case of Prosecco. They are typically medium-bodied dry wines with a dark or light ruby red color depending on the various grapes, a dense, lively and evanescent, purplish-edged foam, a fresh, fine aroma with hints of violet and ripe fruit such as cherries, blackberries, quinces, redcurrants, citrus notes. The taste is delicate, savory, slightly fruity, but with a marked acidity. Since the level of dryness can vary, Lambrusco sparkling wines can also be amabile (slightly sweet) or dolce (very sweet).
글 | 에밀리아노 펜니지 Emiliano Pennisi
Lecture of the Italian Cultural Institute in Seoul, Sogang University lecturer of Italian language
Wine scholar and expert
He attended sommellier courses in Ita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