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슈
Koshu
[아츠앤컬쳐] 이 이야기는 미지의 비티스 비니페라 포도 품종에 대한 것으로, 1,000여 년 전에 코카서스 지방(오늘날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고대 와인 재배 지역에서 당나라 시대에 중국을 거쳐 일본, 그리고 정확히는 야마나시 현에 이르기까지 실크로드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했다고 전해지는 다소 미스터리한 이야기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기원후 8세기에 야마나시 현의 한 마을인 가츠누마에 살며 포도를 재배하던 교키 스님이 어느 날 밤 약사여래, 즉 치유의 부처가 한 손에는 약병을, 다른 손에는 포도 송이를 들고 코슈 계곡을 방문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이 꿈을 기억한 교키 스님이 카츠누마에 다이젠지 사찰(大善寺)을 짓기 시작하여 약사불을 기리기 시작했다.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새로 짓는 사찰에 모실 부처님의 동상을 새기던 곳 근처의 땅에서 이름모를 포도나무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포도를 재배하던 그 스님은 카츠누마 지역 주민들에게 포도 재배 기술을 가르쳤으며, 다이젠지 사찰 바로 옆에 이름모를 포도나무를 심고, 나중에 지역의 야생 포도나무와 자연스럽게 교배하여 이후 코슈라고 불리는 잡종 품종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수세기 동안 일본의 지리적 고립과 역사적,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코슈는 와인으로 만들어지기보다는 주로 신선한 포도 상태로 섭취해왔는데, 19세기 후반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일본 와인 산업이 발전하면서 처음으로 이 포도로 포도주를 만들게 되었다.
나라 시대에 살던 교키 스님의 때와 마찬가지로, 코슈 포도 품종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주로 후지산 경사면의 야마나시현 계곡에서 재배되고 있다. 이 포도는 복숭아색 색조를 띠는 옅은 분홍색 포도이며, 매우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어 봄철 잦은 비로부터 과육을 보호할 수 있다. 야마나시 지역의 기후는 여름에는 습하고 겨울에는 매우 춥고 햇살이 강하기 때문에 코슈 포도는 천천히 숙성되어 산도가 높고 당도가 낮아 와인의 알코올 도수가 10~12도를 넘지 않는다.
코슈는 부드럽고 과일향이 나며 향기로운 부케와 감귤, 복숭아, 재스민, 사과, 흰 꽃의 힌트가 있는 옅은 밀짚색의 화이트와인이다. 신선하며 뚜렷한 산도, 미네랄 힌트, 유자 감귤, 레몬, 라임, 자두의 노트, 그리고 깔끔하고 세련된 마무리로 맛이 섬세하다.
코슈는 드라이한 화이트와인이 일반적이지만, 훌륭한 스파클링 와인, 오렌지 와인, 스트로 와인도 이 포도로 만들어진다.
Koshu
This is the somewhat mysterious story of an unknown vitis vinifera grape variety that it is said to have traveled east along the Silk Road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ago from the ancient wine-growing regions of Caucasus (roughly modern Georgia,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to reach Japan, and precisely the Yamanashi Prefecture. Still according to this story, a grape-growing Buddhist monk named Gyoki who lived in the eight century AD in Katsunuma, a village in the same Yamanashi Prefecture, one night had dreamed of Yakushi Nyorai, the Buddha of Medicine, who was visiting the local Koshu Valley carrying a jar of medicine in one hand and a cluster of grapes in his other hand.
Remembering this dream, Gyoki began to build the Daizen-ji Temple right in Katsunuma to honor the Buddha of Medicine himself and, always according to the story, it seems that he discovered an unknown grapevine in a plot of land near where he was carving a statue of that Buddha to be enshrined in the new temple. The grape-growing Buddhist monk it is said to have taught viticulture techniques to the locals in Katsunuma, and when he himself planted that unknown grapevine right next to Daizen-ji Temple, it later spontaneously crossed with a local wild vine to create a hybrid variety that would henceforth be called Koshu.
For many centuries, due to Japan’s geographical isolation and its historical and political events, Koshu was mainly eaten as fresh grape rather than made into wine, and it wasn’t until Meiji era, in the second half of nineteenth century, that this same grape was first vinified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Japanese wine industry.
As in the time of the Buddhist monk Gyoki, who lived during Nara period, Koshu grape variety is still mainly grown today in the valleys of Yamanashi Prefecture, on the slopes of the majestic Mount Fuji. It is a pale pink grape that can sometimes take on peach-colored hues and it has very thick skin that protects it from the frequent spring rains. Climate in the Yamanashi region, humid in summer and quite cold and sunny in winter, allows Koshu grape to ripen slowly, developing a high acidity and a low sugar content so that its wines rarely exceed 10~12 degrees of alcohol.
Koshu is a pale straw color white wine with a soft, fruity and aromatic bouquet, hints of citrus, peach, jasmine, apple and white flowers. The taste is delicate with a fresh and distinct acidity, mineral hints, notes of yuja citrus, lemon, lime, plums, and a crisp, polished finish.
Although Koshu is usually a still dry white wine, excellent sparkling, orange and straw wines are also made from this grape.
글 | 에밀리아노 펜니지 Emiliano Pennisi
Lecture of the Italian Cultural Institute in Seoul, Sogang University lecturer of Italian language
Wine scholar and expert
He attended sommellier courses in Ita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