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없이 지은 교회 – 현대 건축이 잊은 지혜

A Church Without Nails – And the Wisdom Modern Architecture Might Have Forgotten

2025-07-01     아츠앤컬쳐
Drohobych의 성 게오르기교회

 

[아츠앤컬쳐] 우크라이나 서부의 작은 도시 드로호비치에는 15세기 후반에 세워진 목조 건축물, 성 게오르기교회가 있다. 이 교회가 500년 넘도록 무너지지 않고 서 있는 비결은 의외로 단순하다. 못 하나 쓰지 않고 오직 나무만으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철제 못 없이, 나무와 나무를 끼워 맞추는 전통적인 짜맞춤 기법으로 완성된 이 교회는 우크라이나 목조건축의 정수로 평가받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는데, 오늘날에는 건축가들 사이에서 다시 주목받는 전통 기술의 상징이 되었다.

이 교회는 우크라이나 전통 목조건축의 핵심 기법인 ‘짜맞춤’에 기반해 지어졌다. 굵은 통나무에 홈을 파고, 그 홈에 다른 목재를 정교하게 끼워 넣는 이러한 전통 기법은 목재가 숨 쉬는 특성을 고려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단단해지고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특징을 보인다. 못이 없기 때문에 습기나 기온 변화에도 구조 전체가 유연하게 반응하며, 뒤틀림이 적다.

한옥의 목조 건축

흥미로운 점은 이 전통 기법이 한국의 고유한 목조건축 기술과도 놀라울 만큼 유사하다는 것이다.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홈으로 고정하는 ‘제비꼬리 맞춤’, 목재들이 서로 교차되며 자물쇠처럼 고정되는 ‘자물쇠 이음’, 수직 하중을 견디게 하는 구조의 ‘돌기와 홈’ 기법 등은 한국의 한옥, 사찰, 정자 등에 쓰이는 ‘장부 맞춤’, ‘턱짜기’, ‘짜맞춤’과 매우 유사하다.

놀라운 것은, 이 방식이 단지 과거의 장인정신으로만 남아 있지 않고, 최근 현대 건축에서도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우크라이나 건축 스튜디오 Balbek Bureau의 ‘RE:Ukraine Housing’ 프로젝트다. 이들은 키이우 인근에 모듈형 임시 주택 단지를 설계하면서 전통 목조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못을 최소화하고 조립식 방식으로 설계했다. 이는 전쟁 이후 대규모 이재민을 수용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건축 실험의 일환이기도 하다.

또한 ‘카르파티아 토속건축학교’에서는 전통 목조건축 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직접 체험하며 배우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도끼로 목재를 다듬고, 못 없이 집을 짓고, 자연 환기 구조를 등을 연구하고 실제 주택 시공에 적용한다. 이처럼 우크라이나의 못 없는 건축은 단지 ‘과거의 기술’이 아닌, 기후 위기 시대에 지속 가능성과 순환성의 원형으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지역은 달라도 지혜는 통하는 걸까. 지속 가능한 건축은 첨단 자재나 설계 프로그램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수백 년 전, 계절에 맞춰 나무를 다듬고 짜 맞췄던 장인들의 손길 속에서, 기술과 시간, 사람의 손이 구조 자체에 깃든 건물에서 진정한 해답이 숨어 있을지도 모른다. 드로호비치의 목조 교회와 한국의 전통 사찰, 서로 다른 땅에서 500년 전 지어진 이 두 건축물은 유리와 철근이 아닌, 나무의 숨결 그리고 사람의 기술을 구조에 담는 방식으로 지금도 조용히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Balbek Bureau의 RE:Ukraine 임시주택

 

A Church Without Nails

And the Wisdom Modern Architecture Might Have Forgotten

In the quiet town of Drohobych in western Ukraine stands a wooden structure built in the late 15th century: the Church of St. George.

What has allowed this building to remain standing for over 500 years may surprise you it was constructed without a single nail, using nothing but timber and traditional joinery techniques.

Wooden logs were carefully carved, interlocked, and fitted with precision, creating a resilient structure that has weathered centuries of change.

Today, the church is celebrated as a masterpiece of Ukrainian wooden architecture and recogniz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 reminder of ancient knowledge now drawing renewed attention from contemporary architects.

The church was built using a key method in traditional Ukrainian woodworking: log construction through joinery. Thick logs are shaped with grooves and connected without fasteners, relying solely on the geometry of the wood and the craftsmanship of the builder. Because wood breathes and naturally expands and contracts with humidity and temperature, these joints actually become stronger and more stable over time. Without nails or metal components to corrode or crack, the building can adapt and flex with the environment, not against it.

제비꼬리 맞춤 구조

Whats especially fascinating is how closely this technique resembles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In Korea, buildings like hanok houses, Buddhist temples, and wooden pavilions were also built without nails, using intricate wood-to-wood joinery methods.

Ukrainian techniques such as the dovetail joint (Ластівчин хвіст), locking joint (Замок), and the tenon-and-groove method (Шип і паз) bear striking similarity to Koreas tongue-and-groove, mortise-and-tenon, and other traditional joinery techniques.

Two cultures, far apart geographically, arrived at similar architectural solutions through their shared respect for wood, patience, and precision.

In both, one finds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natural materials, and an architectural approach that values flexibility, sustainability, and craftsmanship.

Perhaps whats even more interesting is that this construction method is not only being preserved, but actively revisited. A prime example is the Ukrainian architecture studio Balbek Bureau, which designed the RE:Ukraine Housing project a modular emergency housing system near Kyiv.

Inspired by traditional wood joinery, the design minimizes the use of nails and allows for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This approach isnt just nostalgic; its practical, sustainable, and responsive to the needs of those displaced by war.

Meanwhile, the Carpathian School of Vernacular Architecture is working to document, preserve, and teach these traditional building methods. Through hands-on education, students learn how to shape wood with axes, build without nails, and design structures that breathe and ventilate naturally.

Tradition becomes both an educational tool and a design philosophy.  In this light, Ukraines nail-less wooden architecture is no longer merely a historical curiosity.  It offers a compelling model for sustainable, circular, and human-centered design one that resonates strongly in our era of climate crisis and resource scarcity.

Perhaps wisdom truly does transcend geography.

Sustainable architecture is not just about advanced materials or digital design software. Sometimes, the answers lie in the quiet patience of carpenters who, centuries ago, worked with wood in rhythm with the seasons. In buildings where skill, time, and the human hand are woven into the very structure, we may rediscover what it truly means to build for the long term.

A wooden church in Drohobych. A temple in Korea. Both built five centuries ago, yet quietly pointing us toward the future not through glass or steel, but through timber, breath, and the enduring wisdom of the hand.

 

글 ㅣ 박수희

(주)구라파랩 대표

해외브랜드 전시 플랫폼 및 마케팅 컨설팅

해외브랜드 B2B & B2C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