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a vocale da camera italiana
Una breve storia

 

[아츠앤컬쳐] 19세기 이탈리아 음악은 ‘멜로드라마(Melodramma)’의해 지배된다. ‘멜로드라마’란 ‘실내악’과는 정 반대의 의미로 ‘극적인 요소’를 갖춘 극장용 음악으로 해석되며 보통 ‘음악극’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이탈리아의 음악적 상황과 음악극에 대한 선호도로 인해 독일과는 달리, 이탈리아 실내성악곡은 벨리니(Bellini), 로시니(Rossini), 도니제티(Donizetti)를 포함한 당대 최고의 작곡가들에 의해 기존 오페라 형식을 그대로 답습한 형태로 쓰여져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실제로 도니제티의 ‘회상하라! 아름다운 이레네’를 포함한 다수의 실내성악곡 작품들을 보면 카바티나(Cavatina)*와 카발레타(Cavaletta)*를 포함한 오페라 아리아와 별반 다르지 않을 뿐더러 로시니가 발표한 많은 성악곡들도 마찬가지로 오페라 스타일을 도입한 멜로디와 반주 형태를 지닌 것을 알 수 있다.

사실상 실내성악곡의 개화기는 19세기 후반으로 간주되며 매우 흥미롭고 방대하며 창조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다. 작곡가들은 작곡과 성악 교사의 역할을 겸비한 인물로 부찌 페치아, 로톨리, 카라촐로, 덴짜, 아르디티, 티린델리, 브라가 등이며 그 작품들은 서로 간에 유사한 특징을 지니는데 이는 오페라를 능가하는 수려한 선율미와 추후 칸초네따(Canzonetta)*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될 ‘가벼운 노래’ 스타일을 예시한다는 것이다.

이 아름다운 성악곡들은 당대 최고의 성악가들, 특히 유명 테너들의 군림을 위한 필수곡이 되었으며 곧 음악 애호가들의 시장으로 유입되어 호황을 누리게 된다. 특히 ‘로리타’, ‘탄식의 세레나데’, ‘아침’, ‘스페인 여인’, ‘금단의 노래’ 등은 이탈리아를 비롯한 전 세계 대중의 사랑을 받게 되고, 그 후 엔리코 카루소의 음반에 수록되어 발표된 후 세계 전역에서 판매되었고 오늘날 까지도 그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고 있다.

사실 오페라 극장의 대 스타들에 의해 불려진 이 작품들의 괄목할 만한 성장 배경에는 ‘살롱음악(Salon Music)’*이란 장르의 확산이 한 몫을 하는데 이는 19세기 후반에 대두된 이탈리아 중산층의 응접실 문화에서 비롯된다. 이 새로운 음악장르를 통하여 실내성악곡은 그 이름에 부합된 정체성을 찾게 되는데 그 정체성의 중심에는 바로 곡의 선율미를 제대로 살려주는 이탈리아어의 뉘앙스가 존재한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실내성악곡 작곡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작사가들은 ‘조반니 파스콜리, 죠수에 카르두치’ 등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집단이었으며, 그 후 ‘팔리아라, 에리꼬, 침미노’를 비롯한 스카필랴투라(Scapigliatura)*의 시인들 ‘스테께띠, 브라가, 판짜끼’가 활동하였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사 부문의 발전적 토대와 또한 ‘다양한 모음, 적합한 공명, 소수의 자음’이란 이탈리아어의 장점은 ‘사랑의 행복’ 혹은 ‘불행’, ‘기쁨’과 ‘고통’ 등의 정서로 농축되어 심미적 공감대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한다. 이 후 실내성악곡은 음악적으로 과도기적 성장을 거듭하게 되는데 이는 카셀라, 피쩨띠, 잔도나이, 알파노, 게디니와 같은 뚜렷한 개성으로 충만한 작곡가들의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의 작품은 부찌 페치아, 가스탈돈의 작품들과는 분명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보다 깊고 진지한 가사와 멜로디’, ‘현대적이며 정교한 화성’, 그리고 ‘풍부하고 세련된 반주패턴’으로 증명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점은 이러한 작품들이 부르주아의 ‘응접실용 음악’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엔터테인먼트 혹은 아마추어용 교양지침서에 과감하게 종지부를 찍고 ‘고급 클래식의 음악의 범주’에 재입성한 사실이다. 바로 그 음악의 요새(要塞)에 ‘프란체스코 파올로 토스티(Francesco Paolo Tosti)’가 존재한다.

토스티는 그가 선호하던 시인 ‘가브리엘레 단눈치오(Gabriele D’Annuzio)’와 동향인 아부르쪼(Abruzzo) 지역 출신으로 19세기 말부터 실내성악곡 분야에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오로지 성악곡만을 작곡하였으며 오페라나 교향곡 등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작품들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심지어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당대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 푸치니(Puccini)의 칭송을 받을 만큼 뛰어났다.

이탈리아와 영국을 비롯한 ‘살롱뮤직’의 창시자이자 훌륭한 성악 코치였던 토스티의 업적은 앞서 말한 것처럼 부르주아의 응접실용 음악을 예술의 영역으로 승화시킨 것으로 이는 불필요한 음들이 배제된 ‘정통적 멜로디’의 사용기술과 타 작곡가들이 흉내 낼 수 없는 ‘독보적 서정성’에 기인한다. 또 다른 의미로 토스티는 이탈리아의 세기말적 상황, 즉 20세기 초반의 사회적 정황과 심리적 공습경보에 긴장한 대중에게 ‘평온한 자장가’를 불러주던 음악가였다. 다시 말해 사실주의의 과장된 표현과 전위예술의 치기와는 동떨어져 있던 토스티는 단순하지만 열정적인 감수성을 다해 ‘사랑의 기쁨’이나 ‘버려짐의 고통’, ‘질투’, ‘이별의 번뇌’ 등 관객들이 감동하는 그 것, 그들이 알고 느끼는 바로 ‘그 감정’에 생기를 불어넣어주던 작곡가였다.

기술적으로 볼 때 그의 절제된 피아노 반주 패턴은 그 방면에 뛰어난 독일 작곡가들에 비할 만한 것으로, 마치 성악음절을 암시하듯 전제되고 전개되며 또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서 그의 전 작품 안에 살아 숨 쉬고 있다. 때로는 ‘사랑의 마법(Malia 매혹)’으로, ‘무아지경의 경지(Ideale 이상)’로, 그리고 때로는 ‘극한 절망(L’ultima canzone 마지막 노래)’의 외침으로.

*카바티나(Cavatina)와 카발레타(Cavaletta) 이중 아리아(Aria) 구조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전자는 서정적이고 감상적이며 후자는 빠르고 화려하거나 격정적인 특징을 갖는다.
*깐쪼네따(Canzonetta): 작은 깐초네 라는 뜻으로 이탈리아에서 유행한 경쾌하고 가벼운 느낌의 소규모의 가곡이나 기악곡을 말한다.
*살롱뮤직(Salon music): 19세기 유럽의 대중적 음악 장르로 중산층의 거실에서 소개되고 발전되었으며 주로 피아노와 성악 소품들을 다뤘다.
*스카필랴투라(Scapigliatura): 19세기 중반 주로 밀라노에서 전개된 아방가르드 운동의 하나로 봉두난발 운동이라고도 불렸다.

번역: 길한나 (보컬리스트,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겸임교수)

L’ottocento musicale, in Italia, è stato dominato dal melodramma: per questo motivo, al contrario che in Germania, la musica vocale da camera è stata piuttosto trascurata dai grandi autori( Bellini, Rossini, Donizetti), che anche quando scrivevano per voce e pianoforte utilizzavano lo stile dell’opera ( Alcune composizioni come “Ah! Rammenta,
o bella Irene” di Donizetti sono vere e proprie arie d’opera con cavatina e cabaletta). Anche Rossini, autore di una produzione copiosa per canto e piano, presenta una scrittura cameristica spesso molto prossima a quella operistica.

E’ a partire dalla fine del secolo xixmo che troviamo una interessante e vastissima fioritura di brani per voce e pianoforte, ad opera sia di autori più importanti, sia di maestri di canto ( Buzzi Peccia, Rotoli, Caracciolo, Denza, Arditi, Tirindelli, Braga). Le arie da camera scritte da questi autori presentano linee vocali che ricordano l’opera ma anche prefigurano quella che sarà la “musica leggera” o “canzonetta”. Cavalli di battaglia di tanti grandi cantanti, specialmente tenori, questi brani erano destinati anche al fiorente mercato dei dilettanti: pagine come Lolita, Serenatarimpianto, Mattinata, La Spagnola, Musica Proibita sono stati e sono tuttora popolarissimi non solo in Italia ma in tutto il mondo. Già dalla loro pubblicazione queste arie, nella interpretazione discografica di Enrico Caruso, vendettero ovunque e continuano ad essere popolari tuttora.

Queste romanze venivano quindi cantate sia dalle star della lirica nei grandi teatri, sia nei salotti della fiorente borghesia italiana nel periodo tra ottocento e novecento. Poeti prediletti di questi autori furono in piccola parte i grandi poeti italiani come Giovanni Pascoli o Giosuè Carducci, e in modo più massiccio poeti minori che si erano via via specializzati in questo genere: Pagliara, Errico, Cimmino, e i poeti della “Scapigliatura”, Stecchetti, Braga, Panzacchi. Storie semplici, amori felici o più spesso contrastati, argomenti molto facili da capire, dispiegati in una lingua, l’italiano, che meglio di tutte si presta ad essere “cantabile”, a causa della presenza di numerose vocali, spesso dal suono aperto, e poche consonantial contrario, ad esempio, della lingua tedesca-Dall’altro lato, troviamo invece autori di grande personalità musicale quali Casella, Pizzetti, Zandonai, Alfano, Ghedini, alle prese con la musica per canto e piano. Le composizioni di questi autori sono molto diverse da quelle dei vari Buzzi Peccia o Gastaldon: i testi sono più profondi ed impegnativi, la scrittura vocale , le armonie, la forma musicale sono più moderne ed elaborate, e l’accompagnamento pianistico molto più ricco e ricercato. Ma soprattutto questi brani non sono più destinati a “divertire” ed essere facilmente imparati dai dilettanti, ma escono da una dimensione “salottiera” per entrare decisamente nell’ambito della musica colta, della musica che ha un messaggio da trasmettere. In mezzo, a farla da padrone, Francesco Paolo Tosti.

Abruzzese, come uno dei suoi poeti prediletti, Gabriele D’Annunzio, Tosti operò a cavallo tra ottocento e novecento. Non scrisse mai opere, né musica sinfonica: solo romanze. Ma in quelle fu insuperabile: persino Puccini scrisse che avrebbe voluto comporre romanze belle come quelle di Tosti.

Maestro di canto, animatore di salotti in Italia e in Inghilterra, Tosti seppe dare alla romanza da salotto un alto livello artistico : la sua maestria nell’utilizzo della voce è assoluta, non una nota di troppo, una cantabilità senza uguali negli autori a lui contemporanei. Tosti seppe inoltre dar vita ad un ambiente, un epoca, quella dell’Italia di fine secolo, ancora non martoriata dalla prima guerra mondiale e dalle tensioni sociali che aprirono il novecento.Lontano dagli eccessi espressivi del verismo e dalle asprezze delle avanguardie, Tosti, con il suo linguaggio semplice ma appassionato, seppe dar vita a quei sentimenti, la gioia per l’amore che nasce, l’angoscia per l’abbandono, la gelosia, la tristezza per l’amore che finisce, che sono poi i più importanti, quelli in cui il pubblico si riconosce e quelli per cui il pubblico si commuove.

Poche note del pianoforte, ad introdurre la voce, già suggeriscono, come nei grandi autori tedeschi, la magia dell’amore ( … Cosa c’era nel fior che m’hai dato, forse un filtro, un arcano poter…), l’estasi dell’abbandono ( io ti seguii, com’iride di pace, lungo le vie del cielo), la disperazione ( m’han detto che domani, Nina vi fate sposa…)

글 | 마우리찌오 까르넬리
피아니스트 / 작곡가 / 지휘자
이탈리아한국문화교류협회 이사장, 클라우디오 아바도 밀라노시립음악원 교수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