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고 정열적인 춤 ‘솔 댄스 컴퍼니’ 출연
한국인 댄서 원진영, 휴먼필즈와 함께 내한무대
한국관객을 매혹에 빠뜨렸던 샤하르 비냐미니, 신작 들고 다시 서울로
[아츠앤컬쳐]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2022, 예술감독 이종호)가 9월 14일(수)부터 10월 2일(일)까지 서울시내 주요 공연장에서 개최된다. 위드코로나 3년차에 한국 포함 9개 국가가 참가, 국내·외 오프라인 공연 34개 작품을 소개한다. 올해는 특별히 한국-이스라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이스라엘 포커스 라인업을 선보인다.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등에서 열린다.
이스라엘 포커스 프로그램은 현재 세계무대에서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SOL Dance Company(솔 댄스 컴퍼니)의 <TOML (Time of My Life)>과 Human Fields(휴먼 필즈)의 <있어야 할 곳 (Place to be)>, Shahar Binyamini(샤하르 비냐미니)의 <Evolve (진화)> 등 몸성과 개성 넘치는 작품들이 무대를 장식한다.
한국-이스라엘 수교 60주년 기념 ‘이스라엘 포커스’ 프로그램
SOL Dance Company(솔 댄스 컴퍼니)는 <TOML (Time of my Life)>를 10월 2일(일) 서강대 메리홀 대극장에서 선보인다. TOML은 음악과 춤 모두에 다양한 장르를 반영했다는 특징이 있다. 컨트리에서 클래식까지 폭 넓은 음악과 다양한 스타일의 춤을 사용한다. 에너지와 카리스마 넘치는 이 작품은 자아와 정체성, 타자에 대해 탐구한다. TOML은 외모에 대한 집착과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춤으로 승화시켰다. 시작에서 끝까지 유머러스한 분위기로 많은 관객의 흥미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
솔 댄스 컴퍼니는 2016년 이스라엘의 고대 도시 베어셰바(Be'er Sheva)에서 창단됐다. 7명의 무용수로 이루어진 이 무용단은 친밀하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관객에게 다가가는 작품을 만든다. 솔 무용단은 베어셰바 무용의 집(‘House Of Dance' Be'er Sheva) 전속 무용단이다. 예술감독 에얄 다돈(Eyal Dadon)과 무용수들은 자신들의 춤 언어와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 사회, 음악, 생활에 대한 접근법을 개발하고 있다.
에얄 다돈은 1989년 베어셰바에서 태어나 현재 솔 댄스 컴퍼니와 베어셰바 무용의 집의 예술감독 겸 안무자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야이르 샤피라(Yair Shapira)상을 받은 데 이어 하노버 안무대회(Hannover Choreography Competition)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는 키부츠 현대무용단에서 단원, 지도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Human Fields (휴먼 필즈) < Place to be (있어야 할 곳)>
Human Fields(휴먼 필즈)의 <Place to be (있어야 할 곳)>은 올해 시댄스 개막일인 9월 14일(수)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된다. 한국인 무용가 원진영(Won Jin Young)이 동료이자 안무가인 도르 마말리아(Dor Mamalia), 다리우시 노박(Dariusz Nowak)과 함께 출연한다. <있어야 할 곳>은 변화 자체만이 영원한 것이라는 현대의 신념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는 정의되기를 거부하며 고정되어 있지 않고 완성을 지향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는다.
도르 마말리아(Dor Mamalia)는 이스라엘 출신의 실력파 안무가이다. 이스라엘 문화부로부터 2013, 2014년 연속 ‘최우수 공연상’을 받았다. 2014년 코펜하겐 안무대회에서 관객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윌리엄 포사이드, 야코포 고다니, 엠마누엘 가트 등 저명 안무가들이 함께 진행한 ‘The Project' 작업에 참여했다. 2013년부터 3년간 이단 샤라비&댄서즈에서 활동하며 전세계에서 공연과 워크숍을 하는 한편 자신의 안무작을 NDT2와 같은 세계적인 무용단이 공연했다. 2016년부터는 전세계 학교, 축제들로부터 작품을 위촉 받았으며 2018년 5월, 신작 듀엣 <Into me see>를 다리우시 노박과 공연했다.
다리우시 노박(Dariusz Nowak)은 무용과 연극을 공부했다. 필라테스 교사이자 무용 교사이다. 도르 마말리아와 함께 컬렉티브 Human Fields를 창단했다. 덴마크 왕립여름발레학교, 수잔 델랄 센터 등 여러 저명 단체와 협업했다. 자신의 작품을 이스라엘, 영국, 독일 등 15개국 이상에서 공연했다. 도르 마말리아와 창작을 하는 동시에 사르 마갈, 루카 시뇨레티, 원진영 등 여러 예술가와 협업하고 있다.
⬛ Shahar Binyamini (샤하르 비냐미니) <Evolve (진화)
Shahar Binyamini(샤하르 비냐미니)의 <Evolve (진화)>는 9월 14일(수)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휴먼필즈와 같은 무대에 설 예정이다. <진화>는 춤의 과학적 측면과 신체적 표현의 관점에서 성장의 개념을 다룬다. 움직임과 과학의 관계를 연구하는 바이츠만 연구소(Weizmann Institute of Science)의 레지던시를 통해 탄생한 작품이다. 작품은 두 무용수가 함께 춤을 출 때에 생기는 근육의 움직임에 집중해 조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을 담았다. 매우 섬세하고 분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샤하르 비냐미니는 2006-2013년 이스라엘 바체바 무용단(Batsheva Dance Company)에서 활동했다. 2016년 싱가포르 프론티어 무용단을 위해 <FLAT>을 창작하며 국제적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독일, 싱가포르, 스웨덴 등 많은 나라에서 작품을 위촉받았다. 2013년 바이츠만 연구소 내에 무용수, 과학자, 안무가들의 리서치 그룹인 TNUDA를 설립하여 현재 과학과 동작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
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 시댄스) |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시댄스)는 1998년 제13차 CID-UNESCO 세계총회 서울 유치를 계기로 탄생했다. 지난 25년간 아시아와 유럽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중남미 등을 포함한 외국 417개, 국내 538개 단체 및 무용예술가들의 다양한 공연을 선보였다. 외국의 최정상급 단체와 라이징 스타를 한국 관객에게 소개하고 한국의 무용가를 해외에 진출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며 국내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의 국제무용 페스티벌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18년부터 <난민> <폭력> 등 특정 이슈를 다루는 특집을 기획, 예술을 통해 다양한 사회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2020년 온라인 축제와 2021년 하이브리드 축제 개최를 통해 국내외 무용영상 플랫폼 선도에도 주력하고 있다.
시댄스는 매년 가을 3주 동안 서울 시내 주요 공연장 등 곳곳에서 전 세계 최정상급 무용단 및 국내 무용단의 초청공연, 국가 간 합작 프로젝트 및 다양한 부대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객 호응도 및 축제 컬렉션, 운영 노하우 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대형 국제 문화예술행사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한국 현대무용의 세계무대 진출을 이끌어 K-Dance 열풍을 선도했다. 지금까지 시댄스를 통해 한국무용이 국제무대에 진출한 사례는 45개국 250여 회에 이른다. 올해는 다채로운 부대행사와 새로운 시도들을 통해 무용 작품을 전공자만이 아닌 많은 대중들이 접할 수 있도록 안내자의 역할도 마다하지 않을 예정이다.
시댄스 이종호 예술감독은 “그렇지 않아도 시댄스 초기부터 이스라엘 작품들을 꾸준히 소개하면서 그들의 강점을 국내 관객들에게 보여드렸는데, 최근 컨셉추얼 댄스나 융복합예술의 과도한 유행으로 점차 춤성, 몸성이 희박해져 간다는 무용계의 우려를 반영, 좀더 피지컬한 춤에 강점을 지닌 이스라엘 무용을 보여드리고 싶었다”라고 기획의도를 밝혔다.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얼리버드 티켓 오픈은 8월 10일(수), 예술의전당 공연에 한해 예당 회원들에게 8월 9일(화) 선오픈 할 예정이다. 티켓 관련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www.sidance.org/2022/main.ph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 2022) 개요> ⬛ 일 시 : 2022년 9월 14일(수) - 10월 2일(일) ⬛ 장 소 :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자유소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서울남산국악당, 문화비축기지 ⬛ 규 모 : 총 9개 국가 참여, 국내·외 무용단 34개 작품 소개 ⬛ 후 원 : 서울특별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한이스라엘대사관, 주한덴마크대사관, 주한네덜란드대사관, 국제공동예술기금, 네덜란드공연예술기금(Performing Arts Fund NL), 덴마크예술재단(Statens Kunstfond) ⬛ 협 력 : 주한독일문화원, Trois C-L, Lemesos Dance House, 서울남산국악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