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아츠앤컬쳐] ‘자연의 색깔 - 그 원색의 향연’이다. 그림은 나무가 이룬 숲, 숲을 이룬 꽃. 숲 그 자체이기도 하고 꽃 숲이기도 하다. 화가 윤인자는 ‘숲·정령精靈시리즈’라고 전시회를 명명했다. 그녀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없는 무엇이 존재한다는 느낌이다.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이 역설적인 느낌이 정령이고 혼이다. 그림에 혼을 불어넣고 싶은 그녀의 희망이고 욕망의 표출일 것이다. 화가는 말한다. 흙과 땅, 그리고 풀과 나무를 수없이 그려온 지금,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싶다고. 단순히 흙과 땅, 풀과 나무가 아니라 그림을 통해서 그것의 내면을, 본질을 파악하고 싶다고.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한 톨의 씨가 땅에 떨어져 나무가 되고 수직을 이룬다. 성장하는 동안 햇빛에 작용하고 땅을 기반으로 날개를 펼치려는 나뭇가지가 된다. 수평과 수직의 조화다. 성장과 생명의 욕구가, 그 섭리가 숲에 담긴다. 나무는 하나의 개체를 넘어 복수로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의 전개는 날렵하게 펼쳐진다. 이것이 윤인자 화가가 추구하고 대응하려는 숲의 표현방식이다. 청색, 적색, 녹색, 황색 톤이 주는 색의 다변성은 화가 윤인자가 추구하고 모색하고 실험하는 결과물이다. 자연이라는 사실성을 그림이라는 추상성으로 화폭에 담았다.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윤인자, 숲·정령精靈시리즈

윤인자의 작품은 진달래나 함초시리즈 같이 ‘뜨겁거나’, 겨울산시리즈 같이 ‘상큼하거나’ 혹은 숲시리즈 같이 ‘포근하거나’와 같은 느낌을 준다.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게 그녀가 명명한 ‘정령스럽거나’이다. 모든 작업의 중심에는 열정적이고 실험적인 방법론이 숨어 있다. 두껍고 질긴 캔버스 뒷면, 마직천 틈새가 바로 작품을 형성하는 장소가 된다. 자연에 대한 탐구를 엿볼 수 있고, 잃어버린 자연을 되돌아보게 하고, 자연에 대한 성찰을 갖게 해준다.
 — 박정현(월간 산 편집장)

 

그림 | 윤인자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서양화)졸업
개인전15회(리홀아트갤러리 인사아트프라자.이즈갤러리 별갤러리.현인갤러리.순천예술회관.장은선갤러리.수갤러리.kbs시청자갤러리
.예술의전당.세종문화회관.부산벡스코해외아트페어다수 기타 그룹및단체전200여회한국미술협회.상형전.광화문아트포럼.
한국수채화협회 서울시 서초구 명달로12-12 UK5층  E:yuninja@naver.com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