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아침’ 주제로 11개국 17명 유명작가 초대

[아츠앤컬쳐] 지난해에 이어 경주에 소재한 한국수력원자력(주)(사장 정재훈)은 [한수원아트페스티벌2019]의 미술부문 부대행사인 <경주국제레지던시아트페스타2019>가 (재)경주문화재단(이사장 주낙영)의 주관으로 진행됐다. 이 행사는 음악과 미술이 만나는 아트페스티벌 형식으로 국내외 유명 뮤지션과 아티스트들이 대거 출연했다.

개막식에 참석한 주낙영 경주시장을 비롯한 주요 내빈
개막식에 참석한 주낙영 경주시장을 비롯한 주요 내빈

특히 미술행사는 평면과 입체, 설치,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토크 등이 한데 어우러진 종합예술제로 치러졌다. 이번 <경주국제레지던시아트페스타2019>의 주제는 “경주의 아침 / Good Morning, GYEONGJU”이다. 주제는 ‘오늘의 시각으로 바라본 경주가 지닌 잠재적 가능성과 새로운 비전’을 담아낸 조형작품을 선보인다는 취지를 담았다.

대만 부스 탐방
대만 부스 탐방

올해 <경주국제레지던시아트페스타2019>에는 한국을 포함해 11개국에서 대표적인 유망 미술가 17명을 직접 경주시에 초대해 문화체험의 결과를 작품으로 제작ㆍ전시되었다. 초대작가의 국적은 핀란드, 폴란드, 루마니아, 체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중국(홍콩), 영국, 한국 등 동아시아와 유럽을 아우르고 있어 광범위한 글로벌 감성으로 경주가 해석된 계기를 마련했다.

한수원 가족 부스 탐방
한수원 가족 부스 탐방

또한 주로 한수원이 세계로 진출한 국가와도 연계되어 더욱 남다른 국제교류의 의의를 더하고 있다. 더불어 경주문화재단이 중심이 되어 현대미술의 다양한 감성적 자극으로 경주 시민은 물론 경주를 찾는 많은 방문객들에게도 새로운 활력을 전해줬다는 호평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부스 탐방
인도네시아 부스 탐방

행사는 크게 레지던시, 실내외 설치, 공연 및 아트토크 등으로 구분되어 진행됐다. 먼저 경주예술의전당 5층 전망대에 마련된 레지던시스튜디오에선 지난 5월7일 입국한 각 나라의 초대작가들이 20여 일간 작품을 제작했다. 물론 이 스튜디오에서의 제작과정은 레지던시 기간 동안 현장을 방문하는 시민 관람객에게도 개방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특정 요일에는 작가에게 직접 작품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만남의 장도 마련되어 예술을 한층 더 가까운 일상에서 만나보는 묘미를 선사해줬다.

아트놈 에코백 체험
아트놈 에코백 체험

레지던시 기간 동안에 완성된 작품들은 경주예술의전당 1층 로비와 벽면전시장, 야외 광장 주변에 설치되어 12월까지 전시된다. 특히 5층 레지던시스튜디오는 작품의 제작과정의 분위기를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그대로 전시(5.24~6.2)되어 관람객이나 시민의 보다 편안하고 친숙한 작품 감상의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개막식 식전 행사의 일환으로 초대작가와 시민을 초대한 퓨전첼리스트 윤지원 연주자의 퍼포먼스 공연도 펼쳐져 눈길을 끌었다. 이 공연에선 이번 행사에 출품된 작품들의 영감을 모티브로 특별히 편곡된 곡이 연주되었다.

체코 부스 탐방
체코 부스 탐방

이외에도 전시와 연계된 시민참여 프로그램이 병행됐다. 작가와 함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브런치와 티타임 프로그램인 <Happy Day, Art & Brunch>, 레지던시 스튜디오에서 작가에게 직접 작품설명을 들을 수 있는 <굿모닝 경주, 오픈스튜디오>, 젊은 작가나 작가지망생들에게 유용한 팁을 전해줄 <성공적인 아티스트의 도전기>, 레지던시 스튜디오 투어를 통해 초대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보는 <행복충전 스페셜 아트투어>, 초대작가와 참여 어린이가 함께 그림그리기 체험을 할 <아티스트와 함께 나도 미술가!> 등 생동감 넘치는 참여 및 체험형 프로그램이 풍성했다.

1층 전시도슨트
1층 전시도슨트

이번 <경주국제레지던시아트페스타2019>은 한국수력원자력이 경주시의 문화중심 활력 증진을 위해 마련한 문화 교감의 장으로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경주국제레지던시아트페스타 2019 초대작가

사브리 이드러스 Sabri idrus (1971~, 말레이시아)

리엘 힐라리오 Riel Hilario (1976~, 필리핀)

아그네스카 그로진스카 Agnieszka Grodzińska (1984~, 폴란드)

헨니 알프탄 Henni Alftan (1979, 핀란드)

알리안시아 카니아고 Aliansyah Caniago (1987~, 인도네시아)

미르챠 텔레아거 Mircea Teleaga (1989~, 루마니아)

로마나 드르도바 Romana Drdova (1987~, 체코공화국)

시아우펑 첸 Shiau-Peng Chen (1976~, 대만)

킹슬리 옹 Kingsley Ng (1980~, 홍콩) & 스테판 청 Stephanie Cheung (1979~, 영국)

김을 (1954~, 한국)

아트놈 (1971~, 한국)

오동훈 (1974~, 한국)

양정욱 (1982~, 한국)

정다운 (1987~, 한국)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