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helangelo, Fall and Expulsion from Garden of Eden-1509-1510- Sistina Chapel- Vatican Rome Italy
Michelangelo, Fall and Expulsion from Garden of Eden-1509-1510- Sistina Chapel- Vatican Rome Italy

 

[아츠앤컬쳐] 만물이 재생하고 부활하는 봄, 계절의 상징인 나무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상징은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의 전환을 나타내어 미스터리를 드러내고, 영감을 주며 창조성을 열어준다. 인류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상징 중 하나인 나무, 특히 생명의 나무는 시를 포함한 거의 모든 형태의 예술과 비예술 사이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요소이다.

Tree of life – Pantaleone – 1163-1165- Zodiac - Mosaic Floor  Interior of the cathedral – Otranto-  Apulia- Italy
Tree of life – Pantaleone – 1163-1165- Zodiac - Mosaic Floor  Interior of the cathedral – Otranto- Apulia- Italy

나무는 하늘을 향하는 수직성으로 진화된 인간의 삶에서 위대한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우주의 진화와 죽음 및 재생의 순환을 상징하는 나무는 우주의 세 단계를 연결한다. 깊은 곳까지 침투한 뿌리의 지하층과 그루터기가 있는 지표면 그리고 정상을 향해 뻗은 나뭇가지들의 하늘층이다. 이러한 이유로 나무는 종종 세계의 축으로서 생명의 나무, 조상의 나무, 신비의 나무로 인식되며 땅과 하늘 사이를 잇는 수액(樹液)은 영원한 재생을 의미하는 천상의 이슬로 통한다.

Egypt- Tree of life  New Kingdom, 20th Dynasty, ca. 1189-1077 BC.
Egypt- Tree of life New Kingdom, 20th Dynasty, ca. 1189-1077 BC.

나무의 원초적이고 본질적인 역할은 선사시대의 전설에서도 발견된다. 그 속에서 나무는 세상의 축과 죽음을 극복하는 자연적 힘의 효소로서 작용했다. 때문에 가장 오래전으로 여겨지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로부터 모든 문명에 이르기까지 나무의 숭배가 시작되었다.

Miraj Nameh- Mahomet and tree of life(Ascension of Muhammad to heaven)–Turkish manuscript- 1436-1437
Miraj Nameh- Mahomet and tree of life(Ascension of Muhammad to heaven)–Turkish manuscript- 1436-1437

생명나무는 카발라의 경우처럼 신비주의, 또는 종교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강력한 상징적 표현이다. 그 기원 이래로 나무는 항상 엄격하게 대칭을 이루며, 각 문명의 기준에 따라 야자수나 무화과, 석류나무 또는 다른 특정 종들과의 유사성을 지니게 되었다.

The Ash Yggdrasil  - Friedrich Wilhelm Heine- 1806
The Ash Yggdrasil - Friedrich Wilhelm Heine- 1806

나무의 상징주의는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며 모든 대륙에 널리 퍼져 있다. 가장 오래된 표식은 기원전 9세기를 거슬러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앗시리아 시대의 원통형의 봉인된 부조(浮彫)로 나타난다.

Assyrian, 865BC-860BC, Tree of Life, British Museum – London
Assyrian, 865BC-860BC, Tree of Life, British Museum – London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풍요와 다산의 상징인 생명나무를 중심으로 두 번이나 대칭으로 묘사된 앗수르바니팔(Assurbanipal)이다.

Miraj Nameh- Mahomet and tree of life(Ascension of Muhammad to heaven)– Turkish manuscript - 1436-1437
Miraj Nameh- Mahomet and tree of life(Ascension of Muhammad to heaven)– Turkish manuscript - 1436-1437

이집트인들 사이에서 신성을 의미하는 파라오는 종종 방사선 모양의 나뭇가지로 배열된 생명나무 줄기(아마도 아카시아)로 묘사된다. 몇몇 해석에 따르면, 이집트의 생명나무는 인구의 생사와 번영을 보장하던 나일강 하구의 모양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Hercules Stealing the golden Apples from the garden of the Hesperides – tree of life- Mosaic - III AC
Hercules Stealing the golden Apples from the garden of the Hesperides – tree of life- Mosaic - III AC

그리스문명에서 생명나무는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에 있는 황금 사과나무 신화와 겹쳐진다. 3개의 사과를 모으기 위해 라돈 뱀을 물리치는 일은 헤라클레스에게 맡겨졌다(기독교 도상화의 전통에서 사과와 뱀의 유사성에 주목하자).

Yggdrasil - Tree of life in  Norse Cosmology- 1300 - Icelandic manuscript
Yggdrasil - Tree of life in Norse Cosmology- 1300 - Icelandic manuscript

기독교의 도래와 함께 생명나무는 특히 중세 후기에 분명한 상징적 역할을 감당한다. 잘 알려진 예로는 1163년~1165년 사이에 만들어진 오트란토(Otranto) 대성당 바닥의 거대한 모자이크다.

Tree of life – Pantaleone – 1163-1165- Mosaic Floor  Interior of the cathedral - Otranto, Apulia, Italy
Tree of life – Pantaleone – 1163-1165- Mosaic Floor  Interior of the cathedral - Otranto, Apulia, Italy

기술적, 예술적 관점에서 볼 때, 다소 도식적인 이미지와 원시적인 모자이크지만 당시 문화 수준으로서는 진정한 걸작이라 할 수 있다. 북유럽 문화에서 에다(Edda)는 우주의 축과 지지대인 거대한 위그드라실(Ygdrasill)에 대한 묘사를 제공한다.

Yggdrasil - Tree of life in  Norse Cosmology-1300- Icelandic manuscript
Yggdrasil - Tree of life in Norse Cosmology-1300- Icelandic manuscript

1220년~1230년 사이에 쓰인 에다의 본문은 스노리(Snorri)가 조국과 노르웨이를 여행하는 동안 구상한 오랜 전통들을 반영한다. 이 웅장한 세계수는 잎사귀가 수경으로 내려간 채 세상의 죽음과 주기적 재생을 상징하는 네 마리의 사슴을 가지 사이에 두고 있다. 몸통을 따라 오르내리는 다람쥐는 위그드라실의 밑둥의 뱀과 꼭대기의 독수리로 묘사된 음력과 양력 사이의 대립성을 나타낸다. 이 신화적 나무는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기 위해 함께 모인 신들과, 그 힘을 위임받은 노른(Norne)의 자리를 상징한다.

Taddeo Gaddi–Last Supper, Tree of Life- 1355 Church of Santa Croce Florence
Taddeo Gaddi–Last Supper, Tree of Life- 1355 Church of Santa Croce Florence

14세기 생명나무는 이탈리아 중세의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인 타데오 가디(Taddeo Gaddi)의 프레스코화에 나타난다.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대성당의 대식당에 걸린 [마지막 성찬]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될 생명나무의 밑둥과 가지가 보인다. 이는 바로 생명의 근원이 더 이상 자연이 아닌 하나님의 아들에게 있음을 시사한다. 르네상스 시대에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성당에 선악을 구분하는 지식의 나무를 그렸는데, 내용은 성경에 따라, 신의 뜻을 어기고 에덴에서 추방된 인간의 역사에서 비롯되었다.

Tree of life -  Toranj_-_special_circular_design_of_Iranian_carpets
Tree of life - Toranj_-_special_circular_design_of_Iranian_carpets

유럽을 벗어나 타 문화권에서도 나무의 상징적 표현을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명나무는 인도의 아메다바드(Ahmedabad)에 있는 가장 중요한 이슬람사원의 창문에 아름다운 돌조각으로 나타난다.

Tree of life - special _design_of_Iranian_carpets -  1600
Tree of life - special _design_of_Iranian_carpets - 1600

또한 페르시아의 대형 융단에도 종종 기하학적인 무늬로 표현된다. 시인 미르 하디다르(Mîr Hadydar)가 쓴 무하마드의 야간여행의 전설인 미라주 나메(Mirâdj-nâmeh)에 묘사된 생명나무는 에머랄드와 진주로 되어 있다.

Gustave Klimt- Tree of life- 1905-1909- Museum of applied arts- Wien
Gustave Klimt- Tree of life- 1905-1909- Museum of applied arts- Wien

회화적 표현에서 단번에 떠오르는 생명나무는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작품이다. 클림트는 나무의 단 하나의 지점만으로 긴 상징적 여정을 표현함으로서, 20세기 초 회화사의 가장 유명한 생명나무를 탄생시켰다. 사랑과 재생 그리고 삶의 에너지가 결합된 이 그림은 1905년~1909년 사이 브뤼셀에 있는 스토클레(Stoclet) 궁의 대식당을 위해 고안되었다. 작품에서 나무는 나선과 보석으로 꾸며진 가상의 창조물이며, 왼쪽에는 기대를 상징하는 한 명의 여성과, 오른쪽에는 서로를 포옹한 채 결합된 한 쌍의 커플이 있다. 진귀하고도 이차원적인 곡선으로 만들어진 이 스타일은 아르누보의 전형적인 신(新) 언어로서 비잔틴과 이집트 예술을 연상시킨다.

Keith Haring – Tree of life 1985- Keith Haring Foundation
Keith Haring – Tree of life 1985- Keith Haring Foundation

나무에 대한 과거 여행으로부터 현대로 도약하면 1984년, 키트 해링(Keit Haring)의 한 작품과 만나게 된다. 기쁨으로 춤추는 듯 보이는 나무! 그는 자신만의 생명의 나무를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

번역 | 길한나 백석예술대학교 음악학부 교수

글 | 로베르토 파시 Basera Roberto Pasi

Journalist, Doctorate Degree University of Siena(Literature, Philosophy, History of Art with honors), Study at Freiheit Univerisität Berlin, Facilitator at Osho Resort, Poona India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