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카야 다리. 다리에 매달린 셔틀 ‘곤돌라’가 강 양안을 연결한다.
비스카야 다리. 다리에 매달린 셔틀 ‘곤돌라’가 강 양안을 연결한다.

 

[아츠앤컬쳐] ‘트랜스포터 브리지(transporter bridge)’라는 것이 있다.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운반교(運搬橋)’이다. 이것은 사람이나 차량이 통과하는 일반적인 다리와는 달리, 다리 자체가 사람이나 차량을 운반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즉, 다리에서 길게 늘어뜨린 케이블에 매달린 ‘곤돌라’가 강의 양안을 셔틀처럼 오가면서 사람과 차량을 운반하는 것이다. 운반교는 구조가 단순하고 날렵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다리보다 차지하는 공간이 훨씬 적고 아울러 건설비용도 훨씬 적게 든다. 이러한 다리는 현재 전 세계에 20여 개 정도 되는데 세계 최초의 운반교는 1893년 스페인 북부 바스크 지방 빌바오 근교 포르투갈레테(Portugalete)에 세워진 비스카야 다리(Puente de Vizcaya)이다. 이 다리는 나중에 세워지는 모든 운반교의 전형이 된다.

이런 특이하고 독창적인 구조의 다리를 최초로 구상하고 설계한 장본인은 스페인의 건축가이자 구조 엔지니어 알베르토 팔라시오(Alberto Palacio, 1856-1939). 그는 스페인 북부 바스크 지방 태생으로 바르셀로나에서 건축학을 공부한 다음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수학과 공학뿐 아니라, 천문학과 의학도 공부한 특이한 인물이었으며 에펠탑으로 유명한 귀스타브 에펠 휘하에서 일했다.

네비온 강 하구에 세워진 비스카야 다리
네비온 강 하구에 세워진 비스카야 다리

한편 스페인 북부의 바스크 지방은 일곱 개의 주(州)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북서쪽에 비스카야 주가 위치해 있고, 이 주의 수도가 바로 빌바오(Bilbao)이다. 빌바오는 대서양으로 흘러 들어가는 네르비온 강변에 위치한 항구도시이다. 네르비온 강에는 크고 작은 선박들이 항시 드나들고 있다. 그중에는 엄청난 크기의 대형선박들도 적지 않다.

포르투갈레테는 빌바오에서 북쪽으로 대략 10 킬로미터 네르비온 강 왼쪽 하구의 언덕에 위치한 인구 약 6만의 고풍스런 소도시이다. 한편 ‘포르투갈레테’는 ‘포르투갈’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고, 바스크어 지명 포르투-우갈데타(Portu-Ugaldeta)에서 유래하는 지명일 뿐이다.

골목길에서 본 비스카야 다리
골목길에서 본 비스카야 다리

포르투갈레 시가지에 들어서면 좁은 골목들이 아기자기하게 펼쳐진다. 그러다가 갑자기 지붕들 틈 사이로 마치 거인이 서 있는 듯 비스카야 다리의 거대한 철골 구조물이 시야를 엄습한다. 그렇다면 강의 양안을 연결하는 다리를 왜 저렇게 높게 만들었을까? 비스카야 다리는 강의 양안에 한 쌍으로 세워진 61미터의 높은 주탑에 연결된 포물선 케이블에 매달린 164미터의 긴 다리가 수면으로부터 45미터 상공 위에 걸쳐있는 구조인데, 이 정도 높이 떠있으니 빌바오 항구로 드나드는 대형 선박의 운항에 전혀 지장이 되지 않는다. 이 다리는 현지에서는 이것을 ‘푸엔테 콜간테(Puente colgante)’라고 하는데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매달린 다리’, ‘현수교’라는 뜻이다.

현재 비스카야 다리의 곤돌라는 한 번에 자동차는 6대, 승객은 수십 명을 태울 수 있고, 강을 건너는 데는 1분 30초가 소요된다. 이 곤돌라는 일 년 내내 하루도 쉬지 않고 강의 양안을 왕복하며, 낮 시간대에는 8분마다, 밤 시간대에는 1시간마다 운행된다. 그리고 1년에 사람은 약 4백만 명, 차량은 약 50만 대 정도 수송한다.

이렇듯 130년이 지난 지금도 활발히 사용되는 비스카야 다리는 아름다움과 기능이 완벽히 조화된 19세기 후반의 산업혁명 시대의 유산으로 그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6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것은 바스크 지방에 있는 유일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스페인의 소수민족인 바스크 사람들이 이 다리에 대한 자부심은 하늘 높을 정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사진 | 정태남 이탈리아 건축사
건축 외에도 음악, 미술, 역사, 언어 분야에서 30년 이상 로마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활동했으며 국내에서는 칼럼과 강연을 통해 역사와 문화의 현장에서 축적한 지식을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탈리아 도시기행>, <동유럽문화도시 기행>,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외에도 여러 권 있다. culturebox@naver.com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