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a del babuino
[아츠앤컬쳐] 바부이노 거리는 정제된 우아함을 가진 ‘스페인광장’과 세상의 빛을 지닌 ‘포폴로 광장’을 연결하는 길이다. 15세기에는 이 거리가 두 개의 이름으로 불렸는데, 하나는 나폴리 사람들의 식민지였던 이 곳에서 야영을 했기 때문에 ‘나폴리의 정원 거리’라 불렸고, 또 하나는 ‘작은 말의 거리’라고 불렸다. 그 후 클‘ 레멘티나 거리’ 그리고 존경하는 동명이인 ‘교황 파올리나 거리’라 불렸었다.
1571년 9월 교황 피오 5세는 욕조 모양의 공용분수를 만들었는데, 그 위에 실레노(그리스 신화의 숲의 신)의 동상을 배치하였다. 샘과 분수에서 보이는 요정과 실레노들은 오래되고, 뚱뚱하고, 털이 많은, 누드 또는 옷을 입은 양의 가죽옷을 입고 있는 형태를 띤 헬레니즘 미술양식을 띠고 있었다. 사실 조각상들은 못생기고 변형되어 로마인들로부터 ‘개코원숭이’라는 세례명을 얻었다. 왜냐하면, 그렇게도 사람들이 원숭이와 비교하여 혐오했기 때문이다. 그 후 조각상은 ‘babuinate’라 불리거나, 교황에게 반항을 위한 정치를 풍자하는 익명의 메시지로 이용하기도 했다.
번역 | 이유진 서원대 교수
Roma Via del babuino Via del babuino è la strada che unisce l'eleganza raffinata di piazza di Spagna alla luminosità mondana di piazza del popolo. Nel quindicesimo secolo la strada era suddivisa in due denominazioni: un tratto si chiamava "via dell'Orto di Napoli", perché vi si era accampata una colonia di napoletani; un secondo tratto era chiamato "via del Cavalletto". Poi fu chiamata via Clementina e via Paolina in onore di papi omonimi. Nel settembre 1571 Pio V fece realizzare una fontana ad uso pubblico con la statua del Sileno che venne posta al di sopra della vasca. I Sileni, geni
delle sorgenti e delle fontane, erano raffigurati, nell'arte ellenistica, vecchi, obesi, pelosi, nudi oppure vestiti di pelle di capra. Infatti la statua, brutta e deforme, fu battezzata dai romani "er babuino" perché la giudicarono così repellente da paragonarla ad una scimmia. In seguito, alla statua vennero appese le "babuinate", ovvero messaggi anonimi contenenti feroci satire politiche rivolte al pontefice.
글·그림 | 클라우디오 카스틸리오니
이탈리아 로마에 거주하는 이탈리아 수채화 작가로 터키 국제수채화비엔날레 초청작가로 참여했고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국내.외 다수의 수채화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하고있다. 현재 로마수채화협회장(l’Associazione Romana Acquerellisti)을 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