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a Pia
[아츠앤컬쳐] 고대의 포르타 노멘타나는 피오 4세의 지시 아래 1561~1565년 사이 미켈란젤로의 설계에 따라 지어졌으며 피오 4세의 이름에서 따온 포르타 피아로 개명되었다.
아우렐리아 성벽을 따라 지어진 이 문(porta)은 이발소의 대야를 묘사한 파사드의 장식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미켈란젤로는 여기에 피오 4세를 떠오르게 하는 장식을 디자인했는데 이는 피오 4세는 위대한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이 아닌 밀라노의 작은 이발소 집안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1870년 9월 20일에 포르타 피아의 탈출구가 이탈리아 베르살리에리 부대에 의해 함락당하면서 교황청의 로마 지배가 종식되어, 역사적으로 로마가 이탈리아의 수도가 되었다.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탈출구가 열린 그 지점에 4개의 석판으로 장식된 대리석과 청동의 기념비를 세우고, 전쟁으로 사망한 이들과 이탈리아로 귀환된 로마를 축하하는 글귀가 대리석의 비문에 장식되었다.
문 바깥의 포르타 피아 광장에는 193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세운 베르살리에리 부대의 기념탑이 있다.
Porta Pia
Tra il 1561 ed il 1565 l'antica Porta Nomentana venne sostituita dalla Porta Pia per ordine di Pio IV (dal quale prese il nome) e fu costruita su disegno di Michelangelo.
La porta, costruita lungo il perimetro delle Mura Aureliane, nasconde una piccola curiosità legata alla decorazione della facciata interna che raffigura un locale da barbiere; si dice che Michelangelo che volle così ricordare le origine di Pio IV Medici, che non apparteneva alla celebre famiglia fiorentina ma era discendente di barbieri milanesi.
Senza dubbio, la grande fama della Porta è legata alla celebre “breccia” (buco), aperta dai bersaglieri italiani il 20 settembre 1870: questa data mise fine al dominio del Papato e Roma divenne la capitale d'Italia. A ricordo di questo evento fu posto, nel punto dove fu aperta la breccia, un monumento in marmo e bronzo ornato da quattro lesene che fiancheggiano dei riquadri contenenti le iscrizioni con le cornici in marmo di Frigia che celebrano il ritorno di Roma all'Italia ed i caduti durante il combattimento.
Fuori della porta, in mezzo al piazzale di Porta Pia, è situato il Monumento al Bersagliere fatto costruire da Benito Mussolini nel 1932.
그림 | 클라우디오 카스틸리오니 Claudio Castiglioni
이탈리아 로마 수채화 작가, 터키 국제수채화비엔날레 초청작가
로마수채화협회장(l’Associazione Romana Acquerellisti)을 역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