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훈의 인도네시아 문화탐방

 

[아츠앤컬쳐] 중부 자바의 북부 해안에 드막(Demak)이라는 행정구역상의 군이 있고군 소재지가 드막이다. 이곳에는 2억 3천만 인도네시아 무슬림들의 영적인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드막 사원(Masjid Agung Demak)이 있다. 인도네시아 내국인들이 가장 방문하고 싶은 곳이기도 하다. 불교 유적지인 보로부두르 사원의 방문 목적이 사원의 외양을 감상하는 데 있다면 이 드막 사원은 인도네시아인들이 자신들의 신앙을 점검하고 영적인 무엇인가를 얻기 위하여 방문한다.

 

드막은 1475년에 라덴 파타(1455~1518)가 세운 자바 최초의 이슬람 왕국이다. 당시 자바는 물론이고 인근 지역에 영향력을 미치던 마자빠힛이라는 힌두왕국이 있었는데 라덴 파타는 이 왕국의 마지막 왕인 브라위자야의 아들이다. 브라위자야 왕은 참파 출신의 드와라와띠 왕비가 있었는데 이 왕비가 중국 출신의 후궁 탄 고 홧을 시기하여 팔렘방으로 축출하였는데 라덴 파타는 이 탄 고 홧의 아들이다.

당시 팔렘방에는 브라위자야 왕의 아들인 아르야 다마르가 군수로 봉직하고 있었는데 드와라와띠 왕비는 후궁을 자신의 아들과 혼인하게 하였다. 당시 왕비의 시기심이 얼마나 심각했으며 또 자신의 경쟁 상대를 얼마나 잔혹하게 다루었는지 짐작이 간다.

 

아무튼, 라덴 파타는 팔렘방에서 출생하였는데 이를 두고 라덴 파타의 생부가 브라위자야 왕인지 아니면 아르야 다르마인지 설이 분분하다. 라덴 파타는 자신의 출생과 환경에 대한 고민으로 자바의 수라바야로 옮겨 수난 암펠(Sunan Ampel)로부터 이슬람을 배우게 되었으며 1475년 드막 지역으로 와서 스마랑을 물리치고 드막 왕국을 세우게 된 것이다.

 

드막 사원은 1479년에 완공되었는데 마자빠힛 왕궁에서 가져온 기둥이 있고, 벽면에는 외국에서 수입해 온 자기류가 박혀있다. 특이한 것은 사원의 지붕에 세우는 꾸바(kubah)는 일반적으로 돔 형식으로 만들지만 드막 사원은 힌두의 파고다형식으로 돼 있다. 이것은 힌두왕국에서 갑작스럽게 이슬람 양식이 대두될 때 일어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드막 사원은 자바에 이슬람을 전파하는데 기여한 아홉 명의 위인(Walisongo)들이 자주 모여 이슬람의 전파를 논의했다고 하며 실제로 이 위인들이 사원의 건립에도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이 위인들이 사원에서 기도를 드릴 때 몸을 청결케 했다는 우물도 마당에서 볼 수 있다.

 

이 사원 영역 안에는 드막 왕국의 유물을 전시해 놓은 박물관과 역대 왕들의 묘소도 있다. 특히 라덴 파타 왕의 아들이며 2대 왕인 빠띠 우누스(Pati Unus) 왕은 원정대를 이끌고 말라카에 주둔하던 포르투갈 공격을 시도한 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왕국은 3대 술탄인 트렝고노 왕을 끝으로 1548년에 멸망하고 말았지만 드막 사원은 자바 최초의 이슬람 왕국의 전통을 후대에 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무슬림 왕국이라고 할 수 있다. 중동의 이슬람국가들이 수효는 많지만 국가 사이즈가 인도네시아처럼 크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슬람을 이해하지 않고 인도네시아를 알 수 없다. 인도네시아의 문화유적지 중에 방문할 만한 의미 있는 역사적 이슬람 사원이다.

글·사진 | 고영훈
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교수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