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색조의 대리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대성당 내부
여러 가지 색조의 대리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대성당 내부

 

[아츠앤컬쳐] 부다페스트(현지 발음은 ‘부더페슈트’)는 도나우강 서쪽 언덕지역의 부더(Buda)와 도나우강 동쪽 평지의 페슈트(Pest)가 결합된 도시이다. 헝가리의 기원은 중앙아시아에서 온 마자르족 일곱 부족이 카르파티아 분지에 자리를 잡은 서기 8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페슈트 지역에서 구심점이 되는 건축물은 국회의사당과 성 이슈트반 대성당인데 최고 높이가 모두 96미터이다. ‘96’이란 숫자는 헝가리 건국 연도인 896년과 건국 1,000주년인 1896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슈트반 대성당은 현지어로 간단히 버질리커(Bazilika)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이탈리아어 바질리카(Basilica)의 헝가리식 표기 및 발음이다. 이 웅장한 당은 헝가리를 기독교화한 헝가리 왕국의 초대 왕 이슈트반 1세에게 헌정되었으니 헝가리 사람들의 정신적인 구심점이 되는 전이다. 그래서인지 대당의 돔은 페슈트 지역의 심장부를 원대한 힘으로 뚫고 나와 하늘로 솟아오른 듯하다.

이 당이 세워질 때 당시 이 지역은 허허벌판에 가까웠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건물은 도시계획에 의해 도로망이 먼저 형되고 난 다음 그 틀 안에서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성당의 경우는 정반대로 성당이 먼저 세워지고 난 다음 이를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망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페슈트 지역의 랜드마크인 이슈트반 대성당
페슈트 지역의 랜드마크인 이슈트반 대성당

서양의 도시계획에서 이런 예는 아주 드물다. 이 당은 최대 8,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고 공간 구조는 그리스 십자가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그 중심에 돔이 올려져 있는 형태인데, 이런 방식은 르네상스 건축에서 쓰던 것이다. 다시 말해 이 당은 네오르네상스 양식이다. 당 안은 구석구석 여러 가지 색상의 대리석으로 장식되어 있고 중앙제단 바로 뒤에는 성 이슈트반의 조각상이 초점을 이루고, 중앙제단 옆 황금 골함 안에는 성 이슈트반의 미라가 된 오른손이 보존되어 있다.

당의 내부 공간은 높은 돔의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의해 밝혀져 있다. 돔의 안쪽 지름은 22미터나 되는데 돔 한가운데에는 인간을 창조하고 우주를 다스리는 신이 인간세상을 심판하려고 내려다보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 당을 짓는데 시간도 많이 걸렸고 우여곡절도 많았다. 게다가 엄청난 붕괴사고도 있었다.

이 성당은 1856년에 건축가 힐트(J. Hild)가 설계하여 공사를 반 이상 진행하던 중인 1868년에 사망하는 바람에 다른 건축가 이블(M. Ybl)이 공사 책임을 맡게 되었다. 그는 그때까지 진행된 공사 현장을 꼼꼼히 점검하다가 벽이 금 가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그는 즉시 공사장 주변에 안전 펜스를 치고 점검단에게 벽의 균열을 주의 깊게 지켜보도록 했다. 그후 8일째 되던 날 마침내 엄청난 사고가 터졌다.

이슈트반 대성당 정면
이슈트반 대성당 정면

당시 유일한 목격자가 신문에 밝힌 바에 의하면, 돔의 꼭대기로부터 먼저 돌이 하나둘씩 서서히 굴러떨어지더니, 돔이 조용하게 서서히 주저앉다가 어느 순간에 갑자기 무너져 내리면서 굉음을 토했다고 한다. 지진이 난 것도 아닌데 왜 이런 사고가 났을까? 당시 건축자재를 질이 낮은 제품으로 쓴 것과 돔을 지탱하는 부분의 공사를 잘못한 것이 화근으로 추정된다. 이를테면 부실공사였던 셈이다.

참혹한 붕괴현장을 둘러본 건축가 이블은 성당 설계를 아예 거의 처음부터 다시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공사를 진행하던 중이던 1891년에 사망하고 말았다. 그를 이어 세 번째 건축가인 크라우스(J. Krausz)가 공사를 맡아 완공한 것은 1905년이고 다음해에 봉헌미사가 올려졌다. 그러니까 완공목표로 삼았던 헝가리 건국 1,000주년을 기념하는 해를 10년이나 넘긴 다음이었다. 한편 1906년 봉헌 미사 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부다페스트에 와서 축사를 했는데 당시 소문에 의하면 황제는 축사 도중에 불안한 눈초리로 자주 돔을 올려다보곤 했다고 한다.

 

글·사진 | 정태남 이탈리아 건축사
건축 외에도 음악, 미술, 역사, 언어 분야에서 30년 이상 로마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활동했으며 국내에서는 칼럼과 강연을 통해 역사와 문화의 현장에서 축적한 지식을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탈리아 도시기행>, <동유럽문화도시 기행>,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외에도 여러 권 있다.
culturebox@naver.com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