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 samba로의 초대
[아츠앤컬쳐] 세르주 멘데스와 밴드 브라질 '66의 ‘Mas que nada’를 듣노라면 “생동감”이 무엇인지 알 것 같다. 마음보다 먼저 반응하는 가볍고 기쁜 몸의 신호가 머리의 끄덕임으로, 어깨의 들썩임으로, 사뿐한 걸음걸이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흡족한 활동성을 전달하는 ‘Mas que nada’는 브라질 삼바의 입문곡으로 세계인의 음악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Mas que nada”라는 말은 브라질 사람들에겐 흔히 쓰이지만, 우리말로 직역하기엔 쉽진 않다. 종종 국내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거시기하다”는 군말로 모든 의사소통을 대신해 폭소를 유발하곤 하는데, “Mas que nada” 역시 그 쓰임이 다채롭다. 굳이 의미를 따지자면 “아무것도 아니야”, “말도 안 돼”로 풀이할 수 있는데, 이마저 상황과 기분에 따라 긍정과 부정을 오가며 쓰인다. 어찌됐든 삼바의 대표곡 ‘Mas que nada’는 첫머리로부터 “Mas que nada”란 말로 시작되어 당김음에 감긴 삼바 특유의 율동성을 드러낸다.
‘Mas que nada’의 매력은 사실상 노래의 주제어인 “삼바”를 비롯해 인트로 스캣에 등장하는 “오바(Obá)” 여신, 브라질의 대중공연 장르인 “마라카투(maracatu)” 등 브라질인들의 정서적 바탕을 적극 드러냄이다. 삼바 리듬을 타고 언뜻언뜻 귀에 꽂히는 이러한 단어들은 듣는 사람에게 브라질의 이국적 느낌에 빠져들게 한다.
세르주 멘데스와 브라질 '66의 미국 데뷔는 1966년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인 허브 앨버트(Herb Alpert)가 주도한 앨범으로 시작된다. 앨범은 발매 후 단숨에 ‘빌보드 핫 100’과 ‘빌보드 이지 리스닝’ 챠트에 각각 47위와 4위로 랭크되며, 원곡인 조르지 벵(Jorge Ben)의 1963년 버전을 능가하는 사랑을 받는다. ‘Mas que nada’의 여러 버전 중 멘데스와 미국의 3인조 힙합 그룹인 블랙 아이드 피스(the Black Eyed Peas)의 커버(2006)가 가장 유명하다.
하지만 조르지 벵(Jorge Ben)의 오리지널 버전 역시 ‘Mas que nada’의 매력을 느끼기엔 더없이 충분하다. ‘Mas que nada’를 시작으로 ‘Balança Pema’, ‘Chove Chuva’ 등의 히트곡이 실린 벵의 앨범 <Samba esquema novo(신개념의 삼바)>는 아르망두 피틸리아니(Armando Pittigliani)가 프로듀싱하여 필립스 라벨로 출시되었다.
발매 초기부터 삼바에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앨범은 2007년 롤링스톤즈지에 의해 ‘100 베스트 브라질 앨범’으로 꼽힌 바 있다. 벵은 ‘삼바록의 아버지’라 불리며 삼바에 펑크, 록, 보사노바를 가미한 새롭고 독창적인 스타일로, 브라질의 예술운동인 트로피칼리아(Tropicália)에 영감을 주었다.
‘Mas que nada’는 어떤 버전을 선택하든든 실패가 없다. 벵의 버전은 그의 보컬과 함께 피아니스트 루이즈 카를루스 비냐스(Luís Carlos Vinhas), 섹소포니스트 조앙 메이렐레스(J. T. Meirelles), 베이시스트 마누엘 구스망(Manuel Gusmão) 등 당대 최고의 세션들이 참여해 멋진 앙상블을 들려준다. 반면 멘데스의 버전은 브라질 '66의 여성 보컬인 라니홀(Lani Hall)과 비비 보컬(Bibi Vogel)의 스캣 인트로부터 삼바 음악의 독특한 억양을 느끼게 한다. 여기에 피아노, 보컬, 키보드를 종횡무진 오가는 멘데스의 편곡이 더해져 삼바의 진수를 보여준다.
물론 2006년 음반시장을 뜨겁게 달군 멘데스와 블랙 아이드 피스의 콜라보 앨범(<Timeless>) 역시 시대의 물결을 흡수하는 명곡의 가치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그룹의 수장인 래퍼 윌아이엠(Will.i.am)이 프로듀싱한 ‘Mas que nada’는 삼바와 랩의 만남으로 2006-2007 세계 음반 챠트를 석권한 바 있다. 7개의 그래미상을 수상한 보컬리스트 알 재로(Al Jarreau)와 브라질의 기타리스트인 파울리뉴 노게이라(Paulinho Nogueira)의 커버 역시 삼바의 성공적인 재해석이라 할 수 있다.
글 | 길한나
보컬리스트
브릿찌미디어 음악감독
백석예술대학교 음악학부 교수
stradakk@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