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년과 같은 일 년의 기다림

 

[아츠앤컬쳐] 70~80년대 ‘영 팝스 오케스트라(Young Pop's Orchestra)’의 연주 앨범은 젊은이들의 감수성을 건드렸다. 건반 위를 구르는 듯한 피아노와 팝스 오케스트라, 그리고 가끔씩 들려오는 여성의 스캣은 마치 공기 속을 떠도는 향기처럼 우아하고 아늑했다. 시내의 음반 가게나 카페에서 연신 흘러나오던 이 클래시컬한 대중곡들은 ‘경음악’ 장르의 부흥을 알렸다.

발매된 여러 장의 앨범 중 82년의 <Love Player vol. 2>가 많은 사랑을 받았는데 바로 ‘Bilitis’, ‘Isadora’, ‘Le premier pas’, ‘Smile Again’, ‘Tornerò’ 등 영화 주제곡에서부터 팝송, 칸초네, 샹송에 이르기까지 익숙한 멜로디들이 새롭게 편곡되었기 때문이다. 그중 ‘Tornerò’는 아르페지오에 실린 여성 스캣과 드럼 비트 위의 피아노 솔로, 오케스트라의 전조 된 기동력이 차곡차곡 쌓여 원곡과는 또 다른 매력을 발산했다.

‘Tornerò’는 원래 보컬곡으로 1974년 이탈리아 5인조 록(Rock) 그룹인 이 산토 칼리포르니아(I Santo California)의 데뷔곡이다. 그러나 가장 잘 알려진 버전은 멕시코의 유명 가수 디에고 베르다게르(Diego Verdaguer)의 ‘Volveré’이다. 1976년 스페인어로 개사된 ‘Volveré’는 원제와 똑같이 ‘귀환’의 메시지를 담았다.

‘Volveré’는 디에고의 초기 유명작으로, ‘Corazón de papel(종이의 마음)’, ‘Usted qué haría(어떻게 할까요)’, ‘La ladrona(도둑)’, ‘Voy a conquistarte(널 정복할래)’와 같이 그의 명성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특히 ‘Volveré’는 디에고의 부인이자 가수인 아만다 미구엘(Amanda Miguel)과 자주 불렀는데, 시원하고 거침없는 디에고와 다이내믹한 아만다의 듀엣은 재회를 염원하는 연인 간의 간절함을 잘 표현했다.

“당신이 눈물을 닦는 동안 기차가 멀어진 걸 아직도 기억해요. 돌아갈게요. 당신 없는 일 년이 얼마나 어려울지… 이제 내게 편지를 쓰며 기다려줘요. 시간은 흐르겠죠. 일 년은 백 년이 아니니까요. 돌아갈게요. 내 인생인 당신 없이 혼자 남는 건 불가능한 일이예요. 그리움에 가득 차 꼭 돌아갈게요.”

원곡 ‘Tornerò’는 ‘Volveré’와는 다르게 70년대 이탈리아 칸초네의 명맥을 느끼게 한다. 프로그레시브 록과 산레모 페스티벌의 전성기에 발표된 ‘Tornerò’는 이 산토 칼리포르니아의 발표 후 이탈리안 챠트 1위를 차지하며, 그해 베스트셀러 싱글로 꼽혔다. 록과 감성 발라드가 오묘하게 조합된 ‘Tornerò’의 매력은 곧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 차트들을 석권하며, 수많은 리메이크작을 탄생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산토 칼리포르니아의 활동은 점차 줄어들었는데, 남부 캄파니아 지역 출신인 멤버들이 이탈리아 가요계에 정착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룹은 1977년 산레모 페스티벌에서 ‘모니카(Monica)’로 3위를 차지했지만, 이후 큰 성과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소리 소문 없이 활동을 중단했다. 그러나 그들의 ‘Tornerò’는 2004년 빌보드 핫 라틴 트랙에 6위로 랭크되어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고, 불멸의 라틴 명곡으로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Tornerò’의 리메이크들은 보컬은 물론 팬 플롯, 기타, 트럼펫, 기악 앙상블 등 매우 다양하다. 독일의 여가수인 실비아 카우프만(Silvia Kaufmann)은 2009년 월드비트 버전인 ‘1000 Träume weit(천 가지 꿈)’을 발표해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현재에도 ‘Tornerò’는 여전히 사랑받는 레파토리인데, 유투브 뮤직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신진 음악가들의 연주로 확인된다. 추천할 만한 버전으로는 멕시칸 앙상블 그룹인 아르카노(Arcano)와 팬 플롯 & 기타 듀오 잉카 골드(INKA GOLD), 벨기에의 밴드 기타리스트인 프랜시스 고야(Francis Goya)의 연주이다.

 

글 | 길한나
보컬리스트
브릿찌미디어 음악감독
백석예술대학교 음악학부 교수
stradakk@gmail.com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