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canto:
what does it mean?
[아츠앤컬쳐] 벨칸토는 여러가지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단어이다.
14세기 이탈리아 작곡가 야코포 다 볼로냐(Jacopo da Bologna)는 벨칸토에 대해서 그의 문헌에 이렇게 쓰고 있다. ‘만약 크고 강하게 노래한다면, 당신은 좋은 방법으로 노래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부드럽고 우아하고 달콤하게 멜로디를 노래한다면 당신은 좋은 방법으로 노래하는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벨칸토라는 단어는 여러 다양한 의미로 간주되었는데, 현재는 주로 18세기 초의 오페라(이탈리아)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1829년에 초연된 로시니(Gioachino Rossini)의 기욤 텔(Guillaume Tell/Guglielmo Tell)이 마지막 벨칸토 오페라인 동시에 최초의 낭만주의 그랜드 오페라로 간주된다. 그리고 관례적으로는 작고 부드러운 음량/음색으로 노래하거나 극히 사실주의적 표현보다는 우아함에 치중한 특정한 취향의 독특한 성악창법 ‘술피아토’를 지칭하는데, 그러나 이 글에서 이 의미의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겠다.
벨칸토의 의미와 특성, 성악 방법을 정확하게 서술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과 음악가들 간의 의견 차이의 이유는 무엇보다도 기록물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단어에 대한 기록물의 시작은 1800년대 말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당시의 전형적인 사조인 사실주의 취향으로 설명되어있다. 그 당시 문서들에서 우리는 매우 흥미롭고 표현력이 강한 성향들을 발견할 수는 있으나, 사실 이것들로부터 벨칸토가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할 수는 없다.
가르시아(Manuel García), 루비니(Giovanni Battista Rubini), 말리브란(Maria Malibran) 또는 콜브란(Isabella Colbran)과 같은 19세기 말(’800) 위대한 성악가들의 노래 부르는 방식이 어떠했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음향기록이 부실한 관계로, 우리는 단지 연대기들, 보고서들 및 성악발성 연구논문집들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자료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의심의 여지없이 마누엘 가르시아 주니어가 1840대에 저술한 <Traité complet de l’art du chant>이다. 로시니의 총애를 받던 위대한 테너 가수로서 ‘세빌리아의 이발사’의 초연가수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모차르트의 ‘돈죠반니’에 바리톤으로도 출연했었던 아버지 마누엘 가르시아(Manuel del Pópulo Vicente Rodriguez García)의 아들인 마누엘 가르시아(Manuel Patricio Rodríguez García)는 바리톤 가수로서 로시니의 오페라를 주로 연주했으며 또한 성악 교수였다(그는 피가로역을 맡고, 그의 아버지는 알마비바 역을, 여동생 마리아 말리브란은 로지나 역을 맡아 함께 연주를 하였음).
두 편으로 나누어 저술된 이 위대한 성악발성 연구논문집 <Traité complet de l’art du chant>에서 마누엘 가르시아(아들)는 모든 가수들에게 어떤 종류의 발성 연습이 필요한지, 모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입 모양을 유지하여 연습해야 하는지를 묘사했으며, 또한 성량을 늘리는 법, 흉성/가성/두성을 사용하는 법, 두 개의 성부 변화음역을 해결하는 법을 아주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벨칸토 오페라에 나오는 많은 악절들을 해석하는 법과 함께 변주, 반복, 꾸밈음 등을 소화하는 방법을 분석했다. 이보다 더 짧으면서 더 쉬운, 또 다른 성악발성 연구논문집은 1833년 발표된 바카이(Nicola Vaccai)의 ‘Metodo pratico di Canto’이다. 바카이는 중요한 벨칸토 오페라 작곡가였는데 마리아 말리브란(Maria Malibran)은 벨리니(Bellini)의 ‘카풀레티와 몬테끼’의 아리아 대신 바카이 작곡의 ‘줄리에타와 로메오(Giulietta e Romeo)’의 피날레 곡을 부르기 원했고 지금도 관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들이 벨칸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기술적인 답을 우리에게 제공해 준다 하더라도 과연 우리는 이 단어에 대한 어떤 심미 예술적인 의미를 찾을수 있을까? 우리는 로시니의 여러 가지 분석설명에서 어느 정도 이에 대한 대답을 찾을 수 있으며, 또한 바로크의 전형적인 특징들 중의 일부를 벨칸토를 이해하는데 쉽게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벨칸토 오페라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경이로움’의 추구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벨칸토 오페라 전체는(그중 특히 로시니의 오페라)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것들을 보여준다. 이상한 이야기들, 낯선 장소들, 고대 시대 배경의 전반적인 분위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반남자, 반여자 음색/음역의 카스토라토의 목소리, 남자역을 하는 여자 성악가의 역할 변동, 그리고 경악할 수준의 고난도 성악기교들을 통해 사람의 목소리에 대한 경이로움을 우리에게 선사하는 것이다. 그래서 벨칸토 오페라는 일상의 상황, 내용, 인물들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진 낯선 땅의 꿈 같은 상황으로 우리를 몰아가 주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런 심미적 예술성격은 그 후 인간의 감정을 사실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좋아했던 낭만주의 작곡가들에 의해 버려졌고, 20세기 중반 이후의 음악인들에 의해서 비로소 오래 잊혀졌던 벨칸토 오페라의 보배들이 재발견되어 백 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이후 드디어 로시니의 정가극들의 일부가 오페라극장의 정규 레퍼토리로 재발견된다.
번역 | 조원용 (버밍햄 알라바마 주립대학 성악과 교수)
Belcanto: what does it mean? <Ⅰ>
Belcanto is a word that can be interpretated in many different ways. We can find this word from XIV century, in a document written by an italian composer, Jacopo da Bologna: ‘you will not sing in a good way if you sing forte but you will do if you will sing with soft and sweet melody.’ As time goes by this word assumed many different meanings, and today we use to say ‘belcanto’ to indicate opera repertoire from the first years of XVIII century and 1829, year in which Rossini wrote Guglielmo Tell, considered the last opera of belcanto an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first romantic Grand-Opéra. Furthertmore, there is a habit to indicate with this word a particular way of singing, soft, ‘sul fiato’, or a certain taste, marked on elegance rather then on veristic expression, but now we will not considere this possible meaning.
The marked differences of opinions among musicians about the word belcanto and the difficulties to state exactly the character of this style or way of singing can be explained first of all in the lacking of recordings. The first of them date back to last ‘800 and are characterized from Verista taste, tipical of that age. We can find many interesting expressive characters in them, but no ways to understand what belcanto could be.
Lacking sound documents which show us how was the way of singing of great ‘800 artists like Garcia, Rubini, Malibran or Colbran, we only can rely on chronicles, reports and treatises.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i is with no doubt Traité complet de l’art du chant by Manuel Garcia Junior (1840). Manuel Patricio Rodriguez Garcia was son of Manuel del Populo Vicente Garcia, great singer, tenor beloved by Rossini, first interpreter of Barbiere di Siviglia but also baritone in Mozart’s Don Giovanni. Garcia Junior was a baritone, especially involved in Rossini’s operas (He sang Figaro with father in the role of Almaviva and sister Maria Malibran in the role of Rosina) and teacher. In the great two-parts treatise above mentioned, Garcia explains with great meticulousness which kind of vocalize every singer must try, on which vocals,how to keep the mouth, how to increase the sound of the voice, how to use ‘petto, falsetto e voce di testa’, how to realize two ‘passaggi di registro’, and then analyses how to interpret many passages of opera by belcanto composers and how to realize variations, da capo, ornamentations an so on. Another treatise shorter but easier is Vaccaj’s ‘Metodo pratico di Canto’, 1833. By the way, Vaccaj was an important belcanto composer: Maria Malibran wanted to sing his ‘finale’ of ‘Giulietta e Romeo’ instead of tho one written by Bellini for ‘Capuleti e Montecchi’, an habit in use even today.
But if this treatises can give us some technical answer at the question what is belcanto?, what may we think about the esthetical sense of this word? We can find some answer in many Rossini’s explications, and we can easily apply for belcanto some characteristics tipical of Baroque, and especially the search of ‘wonderfulness’. Every part of belcanto opera and particularly of Rossini’s opera must give us this sense; ambient, strange history, farther locations, ancient times, but, must of all, marvellouness of the voice. Voices of ‘castrati’, half men and half women, women who sing masculine part, ‘en travesti’, confusion of roles, and astonishing virtuosity. Belcanto’s opera must drive us in an uncommon land, into a dreamy situation, as far as possible from daily situations, stories, characters.
This kind of esthetic character was abandoned by romantic composers, who will like to show human feelings in a more realistic way, and only about half of XIX century musicians rediscovered some forgotten treasures of belcanto.
글 | 마우리찌오 까르넬리
피아니스트 / 작곡가 / 지휘자, 이탈리아한국문화교류협회 이사장, 클라우디오 아바도 밀라노시립음악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