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동소문(혜화문), 소장 서울역사박물관
경성 동소문(혜화문), 소장 서울역사박물관

 

[아츠앤컬쳐] 서울시가 4.21(일)부터 11월 말까지, ‘한양도성 멸실구간 해설’(이하 멸실구간 해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멸실 구간 해설’은 한양의 견고했던 수도방어시스템이자, 웅장했던 랜드마크였던 한양도성이 일제에 의해 헐려 나간 과정과 시간의 흔적을 현장에서 직접 만나보는 프로그램이다.

1800년대 후반,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양도성은 이국적이면서도 그 위용이 상당했음을, 많은 이들의 여행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멸실구간 해설은 인왕권역과 성북권역 2곳에서 4월부터 11월 말까지 매주 운영된다. 인왕권역은 매월 첫째·셋째 일요일, 성북권역은 매월 둘째·넷째 일요일에 진행된다.

혜화문 동면_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혜화문 동면_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해설은 소규모(팀당 15명)로 운영된다. 미성년자는 초등 1학년 이상 참여 가능하며 보호자가 반드시 함께해야 한다. 먼저 인왕권역 멸실구간 해설은 도성의 서쪽 돈의문 터에서 출발해서 도성의 정문인 숭례문까지 이어지고, 성북권역 멸실구간 해설은 혜화문에서 출발하여 와룡공원이 시작되는 성북역사문화공원에서 마감된다.

김건태 서울시 문화재관리과장은 “‘한양도성 멸실구간 해설’은 일제에 의해 사라진 도성의 흔적을 찾아가는 여정으로 우리의 아픈 역사의 현장을 직접 눈으로,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다”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한양도성을 아끼고 지킬 수 있도록 한양도성의 역사와 중요성을 조명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서울시 문화재관리과 02-2133-2657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