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nnam Kim 'Serenade: Harmony' at Paris Koh Fine Arts, Fort Lee, New Jersey

Serenade No.17-Harmony, 2024, Oil on Linen, 60.6x60.6cm
Serenade No.17-Harmony, 2024, Oil on Linen, 60.6x60.6cm

 

'김순남 전시 리뷰' 

[아츠앤컬쳐] 김순남(Soonnam Kim)은 뉴욕에서 여러 해를 보낸 후 몇 년 전에 서울로 돌아갔다. 뉴저지 포트 리에 위치한 파리스 코 파인 아트(Paris Koh Fine Arts)에서 열린 그녀의 전시에서, 그녀는 주로 두 개 또는 네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품들을 갤러리 공간의 벽을 따라 배치하여 선보였다. 이러한 회화들은 완전히 추상적인 형태로, 매우 가까운 간격으로 배열된 선들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선들은 작은 물감 자국들로 어우러진 배경 속에서 도드라지며, 전체적인 느낌은 통제와 혼돈이 공존하는 듯하다.

김은 작품 속에 구체적인 형태를 포함하지 않기에, 우리는 그녀의 예술을 순수한 추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이 그림들을 바라볼 때 우리가실제적이라 부를 만한 어떠한 요소도 떠오르지 않는다. 대신, 그녀가 사용하는 기하학적인 형태 속에서 포착된 듯한 빛의 환상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Serenade No.14-Harmony, 2024, Oil on Linen, 60.6x60.6cm
Serenade No.14-Harmony, 2024, Oil on Linen, 60.6x60.6cm

우리는 김순남의 혼합된 문화적 배경에 대해 잠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녀는 뛰어난 화가로서 자신의 기술을 잘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은 서구 문화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한 미술 환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뉴욕에서 보낸 시간은 그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그녀의 예술은 비구상(non-objective) 회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준다.

이 예술 작품들이 제기하는 가장 중요한 질문은 서구와 아시아의 회화 전통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긴장이다. 김순남은 서구 모더니즘 회화의 혁신과,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내면화된 이러한 표현 방식, 그리고 그녀의 한국적 배경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이미지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해 이 두 가지 방향은 쉽게 조화될 수 있다.

전시장 사진
전시장 사진

결과적으로 김순남은 자신의 원하는 방식대로 작업할 자유를 가지고 있다. 그녀의 개성은 서구적 시각 이미지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여전히 예술가에 의해 해석되고 재구성되어야 하는데, 그녀는 이를 놀랍도록 잘 해내고 있다. 그녀의 추상적 이미지에 대한 통찰력은 자신의 문화에서 비롯되지 않은, 독특한 시각을 빠르게 포착하는 능력 덕분에 더욱 예리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작품은 다양한 방식의 시각적 경험 사이에 실질적인 경계가 거의 없다는 사실을 가르쳐준다.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예술에서 중요한 지적 성취이지만, 김순남은 그 이상을 해낸다. 그녀는 자신의 그림을 통해 미술과 미술의 역사들을 한 순간 안에서 노래하며 찬미하게 한다. 

- 조나단 굿맨 (미술 평론가)

- 조나단 굿맨 (Jonathan Goodman)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술 평론가다. 그는 30년 이상 현대 미술에 관한 글을 써왔으며, Art in America, Brooklyn Rail, Whitehot Magazine, Sculpture, 그리고 마드리드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매체 fronterad 등 여러 출판물에 기고했다. 현재 그는 브루클린에 위치한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에서 현대 미술 글쓰기 및 논문 에세이 작성을 가르치고 있다.)

전시장 사진 
전시장 사진 

김순남 작가노트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세레나데: 조화라는 제목의 작품들은 나의 뉴 심포니 시리즈에 속하는 다소 작은 크기의 그림들이다. 뉴 심포니 시리즈는 팔레트 나이프를 사용해 점, , 색의 조형 요소에 집중하여 액션 페인팅을 하며, 다양한 색의 유화 물감으로 캔버스를 가득 채운 그림이다. 뉴 심포니 시리즈가 서양의 클래식 교향곡 음악과 같이 우주의 역동적이면서 조화로운 파동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라면, 그 중, 세레나데 작품들은 더 친밀하고 섬세한 느낌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부제인 조화와 화면에 자주 등장하는 두 개의 원형으로써 모든 존재들의 상호연결성과 조화의 절실함을 표현하였다.

Serenade No.26-Harmony, 2025, Oil on Linen, 60.6x60.6cm
Serenade No.26-Harmony, 2025, Oil on Linen, 60.6x60.6cm

팔레트 나이프로 수없이 많은 점과 선들을 중첩해 나가면서 화면의 리듬감과 질서를 찾아가는 나의 예술 행위는 마치 티베트 불교 수행자가 하염없이 염주를 돌리며 불영속성의 무상한 것들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고, 우주의 텅 빈 듯 충만한 기운과 하나가 되는 무심의 상태에 도달하기를 염원하는 기도 수행과도 같은 것이며, 클래식 음악 작곡가가 다양한 악기 소리들을 꿰어서 조화로운 청각적 컴포지션을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것과도 닮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 경전에 나오는 인드라망과 같이 이 우주가 거대한 파동의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안의 모든 존재들이 서로 반영하며 의존하고 있다고 나는 믿는다. 그러하기에 나의 예술적 창작 행위와 그 결과물인 그림은 인류와 우주에게 보내는 화합과 평화를 위한 나의 메시지이며 기도이다.

그대가 늘 평안하기를......”

전시장 사진 
전시장 사진 

Soonnam Kim at Paris Koh Fine Arts

Soonnam Kim returned to Seoul a number of years ago after spending several years in New York City. In this fine show at Paris Koh Fine Arts, located in Fort Lee, New Jersey, she presented an unusually attractive body of work, mostly in groups of two or four compositions, arranged around the walls of the gallery space. These paintings are entirely abstract, consisting of groups of lines placed very closely next to each other. The lines stand out against a highly mixed background of small daubs of paint. The overall feeling is one of both control and near anarchy.

Because Kim includes no real representational imagery in her works of art, we can only respond to the art as abstract. Nothing we might call “real” comes to mind when we look at these paintings. Instead, we experience a dazzling interplay of seemingly captured light held within the often geometric shapes she employs.

It makes sense to reflect for a moment on Kim's mixed cultural allegiances. She is an excellent painter who puts her considerable skills to good use. Even so, we encounter her work within an art milieu that was created and developed within Western culture. Clearly, her time in New York City meant a great deal to her; her art demonstrates a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nonobjective painting.

김순남 초대전 엽서_Paris Koh Fine Arts, NJ
김순남 초대전 엽서_Paris Koh Fine Arts, NJ

The most pressing questions raised by these works of art have to do with the cultural tensions that arise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Asian painting traditions. Kim stands on the cusp between the innovations of Western modernist painting—innovations that have by now been thoroughly internalized all over the world—and her own Korean background. As I have said, these two orientations can today be easily reconciled because of the global spread of imagery.

As a result, Kim has the freedom to work however she wishes. Her individualism is influenced by imagery from a Western orientation, but such an outlook must still be interpreted and reshaped by the artist—and Kim has done this remarkably well. Her insight into abstract imagery is likely sharpened by a quick eye for ways of seeing that do not originate from her native culture. Kim thus teaches us that there are few, if any, real boundaries separating one mode of seeing from another. Remaining open is a significant intellectual achievement in art—but Kim goes further than that. She makes the very appearance of her paintings sing, celebrating both art and art histories (plural intended) within a single moment.

Jonathan Goodman

 

전시장 사진
전시장 사진

 

김순남 작가
김순남 작가

The artwork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titled Serenade: Harmony, are relatively small paintings that belong to my New Symphony Series.

The New Symphony Series features action painting with a palette knife, focusing on the formal elements of dots, lines, and colors, filling the canvas with a variety of oil paint colors. While the New Symphony Series visually embodies the dynamic yet harmonious waves of the universe, much like a Western classical symphony music, the Serenade works, in particular, provide a more intimate and delicate feeling. The subtitle 'Harmony' and the frequently appearing two circles in the artwork express the urgency of interconnectedness and harmony among all beings.

My artistic act of overlapping countless dots and lines with a palette knife to find rhythm and order on the canvas is akin to the prayer practice of a Tibetan Buddhist practitioner who endlessly turns prayer beads, letting go of attachment to impermanent things of non-eternal nature, and aspiring to reach a state of no-mind, becoming one with the 'seemingly empty yet full energy' of the universe. It is also comparable to the relentless effort of a classical music composer to weave together the sounds of various instruments into a harmonious auditory composition.

I believe, like Indra's Net in Buddhist scriptures, that this universe is interconnected by a vast web of waves, and all beings within it reflect and depend on each other. Therefore, my artistic creative act and the resulting paintings are my message and prayer for harmony and peace for humanity and the universe.

“May you always be at peace...”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