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 quai de Montebello, Paris

몬테벨로 강변로에서 Le quai de Montebello, Paris, 55.5 x 38 cm, watercolor on paper, 2018
몬테벨로 강변로에서 Le quai de Montebello, Paris, 55.5 x 38 cm, watercolor on paper, 2018

[아츠앤컬쳐] 파리의 강변도로를 ‘께Quai’라 부른다. 께 몬테벨로는 쁘띠 퐁Petit Pont 다리와 아키비숍 교Archbishop’s Bridge 사이의 강 왼쪽에 나 있는 파리5 구에 위치한 강변로이다.

강변로를 따라 좌안과 우안으로 나뉘어 노트르담대성당, 생트샤펠성당, 루브르미술관, 랭스티투궁, 콩코르드광장, 에콜 밀리테르(프랑스 육군사관학교), 모네 거리, 샹젤리제 거리의 그랑팔레, 에펠탑, 샤요궁 같은 역사의 숨결이 잠겨있는 유서 깊은 건물들이 즐비하다.

그 중 노트르담대성당과 생트샤펠성당 등은 고딕 양식의 전파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콩코르드광장과 앵발리드에서 내려다보이는 조망은 유럽 수도들의 도시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센강에는 2개의 작은 섬(제방이 있는 시테섬과 생루이섬)이 있다. 건축물들은 마레와 생루이섬에서는 더 가까이 붙어 있고 루브르미술관을 지나면서는 듬성듬성해지며 그 너머에는 3개의 수직축을 따라 주요한 고전적 건축물들이 있다. 3개의 축이란 부르봉궁전과 콩코드궁전, 마들린궁전, 앵발리드와 그랑팔레와 프티팔레, 그리고 샹드마르스 거리의 에콜 밀리테르와 샤요궁이다. 이 건축물들은 전체적으로 지리학적, 역사적 통일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센 강변의 각 건축물들은 역사의 지층을 대변하며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오스만의 도시 계획은 파리의 서부 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특히 라틴아메리카 같은 신세계의 거대한 도시를 건설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이 강변을 따라 길가에 줄을 지어 있는 길러리 서점인 ‘부키니스트’Les bouquinistes de Paris에서 오래된 시집을발견하고 고풍이 서린 파리의 역사와 현실의 모습을 교차해가며 생각에 잠겨본다.

Le quai de Montebello, Paris

Sur les rives de la Seine à Paris peuvent être contemplés certains des plus célèbres monuments de la capitale de la France, de la Tour Eiffel à Notre-Dame en passant par la Concorde, mais également les ponts historiques qui les relient. Les deux rives sont inscrites sur la liste du patrimoine mondial de l'UNESCO depuis 1991. Les premiers quais sont construits au début du xvie siècle. Le premier est le quai des Grands-Augustins. Le Pont-Neuf est construit en 1578. En 1753, la création de la place Louis-XV, actuelle place de la Concorde, est simultanée à celle des quais sur les deux rives. Les maisons qui se trouvaient juste au bord du fleuve sont détruites, malgré l'opposition de la population. L'espace ainsi dégagé permet l'édification des quais hauts. En 1870, 15 ponts sont construits. Les quais bas sont ensuite adaptés au trafic fluvial et les chemins de halage se développent. Les berges de la Seine sont le site des Expositions universelles organisées de 1855 à 1900 à Paris.

글·그림 | 정택영
프랑스 파리 거주 화가, 프랑스조형예술가협회 회원
www.jungtakyoung.org
www.takyoungjung.com

저작권자 © Arts & Cultur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